◐[2021/ 5/ 28/ 금요일]뭔가 뒤 끝이 아쉬운 시기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Dow +0.41%, S&P500 +0.12%, Nasdaq -0.01%
◈ 整理 ; 고용지표 호조에도 불구,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지속되며 "혼조"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지수 : Kospi 3,165.51pt -2.92pt(0.09%)/ Kosdaq 974.08pt +8.02pt (0.83%)
◈ 展望 ; 韓銀 금년내 금리이상 가능성 시사+ 글로벌인플레이션에 따른 각 국 긴축 우려로 "하락 예상"
◈ 韓國物 動向
▷ MSCI ETF 한국물 90.79pt -.78pt (0.85%)
▷ 야간선물지수 423.20pt +0.60pt (0.14%) 환산지수 3,170.00pt
▷ NDF 달러/원 1,118.49원 +1.88원 (0.16%)
◈ 投資 參考指標(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공포와 탐욕 지수 35p→ 36pt (공포), VIX 16.74(-3.57%)
▷ Dollar Index 90.010pt(-0.02%), 6월 금리동결 확률 93.1%→ 93.1%
◈ 美國債, 金(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美國債 2 년물 → 0.146% pt(전일 0.148% pt)
▷ 美國債 10 년물 → 1.606% pt(전일 1.579% Pt)
▷ COMEX GOLD 1oz.→ $1,896.80 (전일 $1,896.55)
▷ WTI→ $66.86 (전일 $66.12)
◈ 國內外 Issue 整理
○ Fed의 Tapering 두고 투자은행과 언론 7월 FOMC에 무게
- 그 보다는 8월 잭슨홀컨퍼런스/ 9월 FOMC가 현실적
- 과거 벤버냉키 의장 임기만료 직전 Tapering 발표를 감안시 늦어도 12월 FOMC
- 긴축은 2022년 3월, 금리인상은 2023년 12월~ 2024년 3월 예상
○ 中의 인플레통제 및 이란산 원유 공급 가능성은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긍정적
- 단, 달러약세가 지속될 경우 이를 상쇄→ 인플레 우려가 해소되지 않는 이유
- 결국, 원자재 하락과 달러강세가 동시 형성되어야 인플레 우려가 해소될 것
○ 美경제지표 발표
- 핵심내구재 주문 : 컨센서스 상회, GDP 켠센서스 소폭 하회, 실업수당청구건수 감소세 지속
- 개인소비지출 주목
○ 5/27 美 1Q GDP,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8일 개인소비지출 주목
○ 韓銀,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 시사
○ NYT "바이든, 2022년회계연도 6조 달러 규모 예산안 제안 예정"
- 2031회계연도까지 연방지출 규모를 8조2천억 달러로 확대
- 10년간 재정적자는 1조3천억 달러 이상
- 법인 및 고소득자 대상 15년간 세율인상해야 상쇄
○ 금일 달러/원 +1원 (1,119원) 전망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6/ 1/ 화요일]美 휴장 속 韓은 어디로? (0) | 2021.05.31 |
---|---|
◐[2021/ 5/ 31/ 월요일]박스권 속에서 5월 마감 (0) | 2021.05.29 |
◐[2021/ 5/ 27/ 목요일]경제지표에 주목한 시장 (0) | 2021.05.26 |
◐[2021/ 5/ 26/ 수요일]전같지 않은 상승동력 (0) | 2021.05.25 |
◐[2021/ 5/ 25/ 화요일]피로도 높지만 오늘은 기지개 펴고~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