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5/ 26/ 수요일]전같지 않은 상승동력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Dow -0.23%, S&P500 -0.20%, Nasdaq -0.04%
◈ 整理 ; 케이스쉴러 주택지수 15년래 최대급등과 Tapering에 대한 의구심과 자위심이 엇갈리며 "하락"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지수 : Kospi 3,171.32pt +27.02pt(0.86%)/ Kosdaq 962.07pt +13.70pt (1.44%)
◈ 展望 ; 모멘텀 소강속 주말 발표되는 美 경제지표 주목하며 "소폭 하락" 예상
◈ 韓國物 動向
▷ MSCI ETF 한국물 91.17pt +0.74pt (0.82%)
▷ 야간선물지수 424.75pt -0.20pt (0.05%) 환산지수 3,169.83pt
▷ NDF 달러/원 1,122.75원 -0.73원 (0.06%)
◈ 投資 參考指標(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공포와 탐욕 지수 35p→ 33pt (공포), VIX 18.84(+2.39%)
▷ Dollar Index 89.677pt(-0.18%), 6월 금리동결 확률 93.1%→ 93.1%
◈ 美國債, 金(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美國債 2 년물 → 0.143% pt(전일 0.151% pt)
▷ 美國債 10 년물 → 1.555% pt(전일 1.605% Pt)
▷ COMEX GOLD 1oz.→ $1,901.05 (전일 $1,883.45)
▷ WTI→ $66.03 (전일 $66.00)
◈ 國內外 Issue 整理
○ Fed의 Tapering 두고 투자은행과 언론 7월 FOMC에 무게
- 그 보다는 8월 잭슨홀컨퍼런스/ 9월 FOMC가 현실적
- 과거 벤버냉키 의장 임기만료 직전 Tapering 발표를 감안시 늦어도 12월 FOMC
- 긴축은 2022년 3월, 금리인상은 2023년 12월~ 2024년 3월 예상
○ 2013~ 2015년( 과거 Tapering 및 금리인상 시기)
- 韓 박스권, 美 S&P500 상승세 보이다 금리인상 본격화 후 일시적 하락 후 횡보
○ 5/27 美 1Q GDP,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8일 개인소비지출 주목
○ 글로벌 공급망 및 물류 정상화 기대감 부각
○ 신흥국 백신 공급 시작, 우려 완화
○ 달러 약세 베팅에 신흥국 부각
- 단, JP모건은 "금리發 달러 약세 모멘텀은 길지 않을 것"
- 위안화 환율 1달러=6.4위안 "뚝"→역대급 초강세
○ 연준 부의장 "자산 매입 축소 논의 시작할 시기 올 것"
○ 中외교부, 韓中은 중요한 협력파트너→韓기업 환영
○ 금일 달러/원 +0원 (1,122원) 전망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5/ 28/ 금요일]뭔가 뒤 끝이 아쉬운 시기 (0) | 2021.05.27 |
---|---|
◐[2021/ 5/ 27/ 목요일]경제지표에 주목한 시장 (0) | 2021.05.26 |
◐[2021/ 5/ 25/ 화요일]피로도 높지만 오늘은 기지개 펴고~ (0) | 2021.05.24 |
◐[2021/ 5/ 24/ 월요일]요동치는 가상화폐와 기술주 (0) | 2021.05.22 |
◐[2021/ 5/ 21/ 금요일]3개월 남기고 숨죽인 투심, 반등 모색 (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