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5/ 27/ 목요일]경제지표에 주목한 시장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Dow +0.03%, S&P500 +0.19%, Nasdaq +0.59%
◈ 整理 ; 개인소비지출(PCE)등 경제지표 발표 앞두고 연준 스탠스 확인 속 비트코인과 기술주 위주 "상승"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지수 : Kospi 3,168.43pt -2.89pt(0.09%)/ Kosdaq 966.06pt +3.99pt (0.41%)
◈ 展望 ;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 발표 앞두고 기술주 상승속 반도체 상승은 제한적인 흐름을 보인데다 달러 강세와 외국인 수급 소극적인 부분을 감안시 금일 보합권 전후의 "등락" 예상
◈ 韓國物 動向
▷ MSCI ETF 한국물 91.57pt +0.36pt (0.39%)
▷ 야간선물지수 424.45pt +1.05pt (0.25%) 환산지수 3,176.29pt
▷ NDF 달러/원 1,116.38원 -0.73원 (0.53%)
◈ 投資 參考指標(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공포와 탐욕 지수 33p→ 35pt (공포), VIX 17.36(-7.86%)
▷ Dollar Index 90.037pt(+0.46%), 6월 금리동결 확률 93.1%→ 93.1%
◈ 美國債, 金(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美國債 2 년물 → 0.148% pt(전일 0.143% pt)
▷ 美國債 10 년물 → 1.579% pt(전일 1.555% Pt)
▷ COMEX GOLD 1oz.→ $1,896.55 (전일 $1,901.05)
▷ WTI→ $66.12 (전일 $66.03)
◈ 國內外 Issue 整理
○ Fed의 Tapering 두고 투자은행과 언론 7월 FOMC에 무게
- 그 보다는 8월 잭슨홀컨퍼런스/ 9월 FOMC가 현실적
- 과거 벤버냉키 의장 임기만료 직전 Tapering 발표를 감안시 늦어도 12월 FOMC
- 긴축은 2022년 3월, 금리인상은 2023년 12월~ 2024년 3월 예상
○ 경제지표 둔화 및 Fed 위원들의 일관성있는 부인에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 연준 부총리 랜들퀼스, 예상대로 가파른 경제회복 지속되면 어느싯점 자산매입 축소 논의
○ 5/27 美 1Q GDP,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8일 개인소비지출 주목
○ 中, 가상화폐 채굴 행위 척결/ 韓, 은행권"가상화폐거래소에 실명 입출금 계좌 제공 중단"
- 채굴업자 단속을 넘어 토지임대나 전기제공자도 처벌
○ 달러인덱스, 급격한 약세에서 되돌림 상승
○ 금일 달러/원 +0원 (1,116원) 전망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5/ 31/ 월요일]박스권 속에서 5월 마감 (0) | 2021.05.29 |
---|---|
◐[2021/ 5/ 28/ 금요일]뭔가 뒤 끝이 아쉬운 시기 (0) | 2021.05.27 |
◐[2021/ 5/ 26/ 수요일]전같지 않은 상승동력 (0) | 2021.05.25 |
◐[2021/ 5/ 25/ 화요일]피로도 높지만 오늘은 기지개 펴고~ (0) | 2021.05.24 |
◐[2021/ 5/ 24/ 월요일]요동치는 가상화폐와 기술주 (0) | 202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