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리서치센터] 자산배분전락 요약
[경제] KB Macro Weekly - 브라질 대선, 아다지가 승리해도 헤알화 약세는 일시적
- 보우소나루와 아다지로 굳혀지고 있는 브라질 대선
- 브라질 대선에 주목하는 이유는 연금개혁 여부에 따른 정부부채 우려 때문
- 좌파 후보 아다지가 당선되더라도 헤알화 약세는 일시적일 전망
[채권] KB Issue 미 장기금리 상승 - 미 금리 상승 배경과 전망, 원화에는 약세 요인
- 미 국채 10년물 금리 3.2% 근접하여 3월 고점 돌파
- 미국 경제 펀더멘털 측면에서 추가 금리상승 압력
- 연준 통화정책 및 미국 채권시장 수급에서의 금리상승 압력
[전략] KB 주식전략 - KOSPI 하락 코멘트
- 대응 방안: KOSPI 하단은 2,230pt. 산업재, 금융 업종에 긍정적 시각 유지
- 하락 원인: 달러 강세와 미중 관계 긴장감 고조가 복합적으로 작용
- 향후 전망: 악재를 더 크게 반영하는 시장, 10월 둘째주 이후에는 지수 반등 예상
[전략] 이그전 - 다시 시작된 월초 변동성, 이를 대응할 투자전략
- 9월 미국 ADP고용이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미국 금리와 달러가 급등하고 원화는 급락
- 이런 상황에서 금융주 (금리상승) / 산업재 (폼페이오 방북, 유가) 등 가치주를 대응 투자전략으로 쓸 수 있음
- 최근 원화는 월초 약세/월말 강세 현상이 반복되고 있고, 증시도 월초 약세/월말 반등이 반복되고 있음
[델타원/파생상품] KB Derivatives - 외국인 대규모 선물 매도는 시장 헤지 (Hedge) 의지 표출
- 외국인 대규모 선물 매도 기록
- 외국인 투자자는 당일 -1만 3,030계약 매도달러 강세와 이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 ‘미국 고용 호조’와 ‘미국 경기 호조에 기반한 연준의장의 매파적 발언’ 조합이 신흥국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또한 단기적으로는 미중 무역갈등이 군사/외교 문제로 확대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시장에 작용한 것으로 판단즉,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는 지수에 대한 순수한 헤지 (Hedge) 의지가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음
- 추격 매도할 수급적 원인은 없는 것으로 판단
[델타원/파생상품] KB Derivatives & Economy - ELS/ELB, HSCEI지수를 보는 폭 넓은 시각
- 중국 정부의 내수 부양책 및 무역갈등 시나리오에 입각한 ELS 투자전략
- 투자자별 ELS 투자전략의 차별화 필요. 시장은 완만한 발행 회복 나타날 것
- ELS/ELB 상환액은 2개월 연속 증가. HSCEI 점유율은 56.9%로 과열 해소
[해외주식] 홍콩증시 하락 코멘트 - 9월 중하순 단기 랠리 후 10월 들어 대내외적 악재로 하락세
- 10월 초 트럼프의 부정적 발언에 이은 中 초상국에너지운수사의 美 원유 수입 중단 등 악재
- 9월 하순 중국증시 단기 랠리 (9/18~9/28 +6%대)와 동반 상승 (+3%대) 후의 이익실현 영향도 있음
- 중국증시가 국경절 연휴로 휴장 (10/1~10/5) 중인 관계로 악재가 홍콩증시에 우선적으로 반영됨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