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산축소 논의 본격화하는 美 연준…한은도 주목

728x90

자산축소 논의 본격화하는 美 연준…한은도 주목

머니투데이 권혜민 기자 2017.05.12 10:01

국금센터 "금리인상과 함께 통화정책의 주요 수단될 듯", 금통위 "시장 불안 초래 가능성 배제 못해"

자산축소 논의 본격화하는 美 연준…한은도 주목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AFP=뉴스1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보유자산 축소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자산 축소가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연준 통화정책의 주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도 연준의 정책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1일 한은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연준은 지난달 5일 공개한 3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보유채권 만기상환자금의 재투자 중단 가능성을 시사했다. 통화정책 정상화에 있어 금리인상에만 의존할 경우 달러 강세 압력이 과도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최근 지역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들은 잇따라 금리인상에 더해 자산 축소의 조기 시행 필요성에 힘을 싣고 있다. 미국의 경기 확장 국면이 93개월간 이어지며 역대 세 번째로 긴 경기확장기를 맞이한 만큼 금융안정을 위해 긴축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8일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연준이 재투자를 중단하고 보다 규모가 축소된 대차대조표를 향한 여정을 시작하는 것은 미 경제가 정상상태에 진입하고 통화정책 역시 정상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환영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0일(현지시간)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 총재도 "연준이 올해 금리를 3차례 더 올리고 다음 금리인상 이후 보유자산을 점진적으로 축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준은 지금까지 구체적인 자산축소 시작 시기와 규모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국금센터가 발표한 '미 연준의 자산보유 축소 방안 및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IB(투자은행)들은 올해 12월 FOMC 발표와 내년초 시행을 예상한다. HSBC 등 일부 IB는 9월 FOMC 발표 이후 연내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자산 축소 규모는 2조3000억~3조3000억달러 수준, 방식은 최초 1년간은 만기 도래시 재투자액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이후 3.5~5년에 걸쳐 만기분을 전액 상환하는 점진적 방식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의 자산 축소 논의가 국제금융시장에 지금까지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고 앞으로도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테이퍼 탠트럼(긴축 발작)이 발생했던 2013년과 달리 최근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오히려 하락했다. 지난 4월에는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도 지난달 17일 "시장과의 충분한 소통으로 이번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과정에서는 2013년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자산 축소 시행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진다면 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진행되기란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국금센터는 "금융여건 악화 등과 겹쳐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 연준의 BS(대차대조표) 조절이 금리인상과 함께 통화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는 뉴노멀이 예상된다"며 "경기후퇴에 앞서 BS 정상화를 앞당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은도 오는 6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가운데 자산 축소 정책의 속도와 방법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은 뉴욕사무소는 이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최근 미국의 GDP(국내총생산) 성장세와 물가상승 속도가 둔화됐으나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경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며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4월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을 보면 다수의 금통위원은 미 연준의 자산 재투자 정책 변경이 시장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점검할 것을 당부했다. 

한 금통위원은 "연준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이 보유자산을 지속적으로 대거 축소한 사례가 없으므로 그 과정에서의 예상치 못한 반응으로 시장불안이 초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보유자산 축소가 국내외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책금리 인상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경제 전반에 걸쳐 간접적, 무차별적 영향을 주지만 보유자산 축소는 대상채권의 가격과 이를 보유한 경제주체에 직접적,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며 "시장참가자들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시장불안이 야기될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