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投資/證券.不動産

[證券] 2024. 6. 14.(金) 參考 種目

 ○ 지엘리서치 6월 14일자 신규 리포트 발간

    • 아이톡시(052770, KQ)
      - 게임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1. 경영정상화 작업 완료 후 2023년 6월 거래재개, 게임, 헬스케어 유통 및 무역 사업 진행
2. 인플루언서 타겟 마케팅 플랫폼 '인플링커' 활용 리퍼블리싱 및 신작 게임 부스팅
3. '인플링커' 플랫폼, 베트남 및 중국 로열티 수출 진행
4. 2024년 3월 우크라이나 국방부와 KG모빌리티 픽업트럭 공급 협약 체결 및 다수 무역 사업 전개


   ○ 의외로 강한 달러와 12월 FOMC 기준금리 확률 (박소현)

1. 2024년말까지 1회 인하 100% 반영하는 분위기, 2회 인하는 75% 정도 프라이싱. 
2. 9월 혹은 11월 인하, 12월 추가 인하 전망하는 분위기
    
그럼에도 불구, 달러강세 지속. 달러인덱스 104pt 후반 유지. 유로/달러 1.074까지 하락(유로 약세).
미국 2회 인하 전망이 본격적인 "Risk Appetite"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 (NDF 원/달러 환율도 1,375원 수준)

아직 시장은 금리인하를 프라이싱하지 않는 분위기. T-bill 6개월물 금리 5.35% 수준 호가 中

 

   ○ 많이 상승했음에도 보고서 계속 나오는 종목....(개인적 추정은 1,000,000원 근접 예상)
      • 삼양식품: 미국, 유럽 확장으로 높아질 가치 -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1.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 812억원(+84%YoY)으로 상향
   - ASP와 수익성이 높은 수출의 증가세 당사 예상 보다 가파르게 나타나면서, 전사 GPM을 상향 조정하였기 때문
   - 2Q 수출 호조는 중국 온라인 채널 정상화, 미국/유럽 메인스트림 채널 및 아시안 마트 입점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 특히, 미국/유럽 수요의 빠른 증가에 힘입어, 과거 대비 중국의 계절적 수요 변동이 전사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켜 줄 것으로 전망

2. 판매량 상승세에 더해지는 ASP 상승 모멘텀
   - 현재 불닭볶음면의 수출이 급증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은 他 지역 대비 물가 수준이 높기 때문에, ASP가 상대적으로 높고, 라면과 같은 저가 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기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음
   - 따라서, 미국/유럽 매출 비중 증가, 유통 채널 수 증가에 따른 협상력 상승 등의 효과에 힘입어, 추가적인 ASP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동사는 밀양 1공장 증설 이후, 판매량 Capa가 +50% 정도 증가하였으나, 분기 최대 매출은 +96% 증가. 22년 11월 가격 인상(+9.7%), 달러 강세, 수출 비중 확대, 매출 에누리 축소 및 현지법인 설립 효과 등이 있었기 때문.
   - 내년 5월 밀양 2공장 증설(판매량 Capa +40%) 예정. ASP가 높은 미국/유럽 중심의 판매 증가, 신규 유통 채널 확대 및 현지 판매법인 설립 가능성 감안시, 2공장 완공 이후 분기 최대 매출은 Capa 증가율 이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3.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830,000원으로 상향



   ○ 연구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오리온 240614

북미 매출 비중이 적어서 밸류에이션 차이가 벌어진 상태
> 원래 헤외매출비중 높았던 기업. 북미 비중도 올해 본격적으로 올라오는 시기 (대표이사 의지)

- 리가켐바이오 인수로 주가는 9만원 부근 프라이싱 (바닥 형성)
- 빙그레, 롯데웰푸드와 괴리 벌어짐
- 꼬북칩 3월부터 북미 체인 파이브빌로우 전매장 입점하였고 다음 뉴스는 미국 공장 기대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599503?sid=101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15109




   ○ 자동차 부품 입니다.
      • 화신(010690) 다올투자증권 [유지웅,강민정]


    - 실적 상향조정 및 적정주가 상향
    -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적정주가는 18,000원으로 상향. 
    - 2Q24 실적에 대한 눈높이 상향조정 필요한 국면이며, 완성차의 미국/인도/중국 지역의 해외사업 호조세 나타나기 시작. 
    - 중소형 자동차 부품주의 re-rating 초입으로 판단되며, 동사 역시 재평가 시점으로 판단

    - 투자의견 : 목표주가 상향





   ○  반도체도 요즘 핫하게 올라왔죠
      • EUV 펠리클 현황 점검 (feat. 에프에스티, 에스앤에스텍) [SK증권 반도체 소부장/전기전자 부품 이동주]

▶️ Comment
- 전일 국내 EUV 관련 업체의 주가 하락폭이 컸음. 에프에스티 -8%, 에스앤에스텍 -3.7%
- 일본 미쯔이 화학이 2025년 12월 공장 준공을 목표로 CNT 펠리클 시장에 진입한다는 소식이 센티먼트에 악영향
- 1) 이미 작년 12월 IMEC과 2세대 카본 계열(cnt) 상용화를 위한 협력 관계 구축한 바 있으며 2) 1세대 폴리실리콘 계열의 유일 판매자로 2세대 진입은 자연스러운 흐름

- 오히려 긍정적인 시그널로 해석 가능 1) EUV 펠리클이 여전히 미개척 시장임을 감안하면 일본 유명 소재 업체의 진입은 시장의 가능성을 엿보았다는 의미와 함께 생태계 조성 차원에 긍정적 2) 전공정 미세화로 High NA 장비에 대응하는 펠리클 요구도 커지는 중. 미쯔이가 기회 요인으로 삼는 시장으로 추정
- 고객사가 양산용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싶어하는 제품은 2세대(카본 계열) 펠리클. 국내 업체인 에프에스티와 에스앤에스텍 모두 2세대 제품을 준비해오고 있음. 개발 속도를 감안하면 국내 업체는 선두 주자 위치

▶️ 보고서 링크: https://zrr.kr/F26v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ㅇ파운드리 종목 입니다
      • 큐에스아이(066310)

-제품 다양화 시도 중
  
■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 업체로 27개국 180여 고객군으로 제품을 공급. 수요의 안정성은 높은 편이나 단가 인하 감안하면 성장성이 제한적. 동사는 향후 성장을 위해 제품 다변화를 시도 중

■ LiDAR 센서, VCSEL, Nano LED, InP 파운드리 신규 사업 준비 중. InP LNA MMIC는 현재 양산 테스트 중으로 연내 양산이 개시될 것으로 전망. LiDAR는 산업용으로 제품화가 되어서 매출이 발생 중

■ 2024년 동사의 매출액 232억원(+24.2% YoY), 영업이익 6.7억원(흑자전환 YoY)을 전망. Laser Beam Printer는 신규 고객사의 승인, 센서의 경우 공장 자동화 등으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 뉴스관련주 정리 (추천주가 아닙니다)

[6/14] HOT 종목 & #특징주 &이슈 & 주요일정

[HOT 이슈]

# 산단 만들고 식수 공급.수공 우크라 재건 협력 시동
:G7,러 동결자산으로 우크라 69조원 지원 합의
*****HOT예상:HD현대건설기계/에스와이/삼부토건/유신/시노펙스/서연탑메탈/국보

# 없어서 못 판다.해외서 난리 난 불닭면 2년 만에 결국
*****HOT예상:삼양식품/풀무원/샘표식품/대상홀딩스/이마트/오리온/빙그레/대상

# 기후변화 시대 식량 위기 해결책은 AI 농업
*****HOT예상:우듬지팜/그린플러스/대동

# 현대차, 미래 위한 수소 인재 채용/조직 정비.사업 본격 드라이브
*****HOT예상:미코/두산퓨얼셀/에스퓨얼셀/범한퓨얼셀

# 군복 벗은 BTS 진.내가 돌아왔다.전세계 177개국 동시 접속
*****HOT예상:하이브/JYP Ent/에스엠

# AI시대 정유사 새 먹거리.HD현대오일뱅크,액침냉각 본격 진출
*****HOT예상:GST/케이엔솔

# BGF에코머티리얼즈, 40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HOT예상:BGF에코머트리얼즈

# 레티보 美 진출 불확실성 씻은 휴젤.4300억대 가치 증명 시동
*****HOT예상:휴젤

# K-디스플레이 70조 시장 노린다.美 인포컴 2024 참여
*****HOT예상:LG디스플레이/이녹스첨단소재/힘스/야스/PI첨단/아나패스/AP시스템

# 피부과 치료 못지 않네.바늘 화장품 홈케어 인기
:화장품 수출 비중 처음으로 중국 제쳐.북미 시장서 날개단 K뷰티
*****HOT예상:선진뷰티/삐아/본느/코리아나/콜마홀딩/뷰티스킨/한국화장품제조/에이블씨엔/마녀공장/잉글우드랩

# 3나노이하 놓치면 2위 못벗어난다.삼성의 위기감이 부른 턴키 전략
:삼성전자의 시간 온다.엔비디아 인증 통과 가능성↑
*****HOT예상:삼영/이오테크닉스/심텍/오로스테크/에이직랜드/사피엔반도/티엘비/DB하이텍/테스

# 印 드론 스타트업 스카이에어, 55억 달러 조달.印 드론 산업 전망 낙관
*****HOT예상:파이버프로/베셀/퍼스텍

# 韓,카자흐스탄 리튬광구 단독탐사 나선다
*****HOT예상:SK에코플랜트/경동인베스트먼트/포스코퓨처엠/금양/이브이첨단/엔시스/엘앤에프/에코프로/하나기술

■주요일정■
-6.14(금) : 코스피/코스닥 정기변경, 미 미시간대소비자심리(예비, 6월)
-6.17(월) : 중국 산업생산/소매판매/고정자산투자(5월)
-6.18(화) : 중국618쇼핑축제, 미 소매판매/설비가동률/산업생산(5월)



6/14(금) 뉴스 관련주 정리 (* 추천주 아닙니다)

● 반도체
엔비디아 3.5% 급등, 또 사상 최고…시총 3조2000억달러 (https://www.news1.kr/articles/?5446921)
반도체: 와이씨, SKC, 태성, 한미반도체, 두산, 디아이, AP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수페타시스, 주성엔지니어링, 에이팩트, 제이앤티씨, 리노공업, 에프에스티, 동진쎄미켐, 켐트로닉스, 원익QnC
반도체2: 삼화전기, 에프엔에스테크, 케이엔제이, 에스티아이, 테크윙
반도체3: 심텍, 에이직랜드, 이녹스첨단소재, 티씨케이, 케이씨텍

삼성전자: 디아이, 피에스케이홀딩스, 제우스, 네오셈, 어보브반도체

액침냉각: 인성정보, GST, 유니셈
냉각: LG전자
냉각2: 워트, 유니셈, 에스씨디, 한성크린텍, 이삭엔지니어링, 삼성공조

● 소비
화장품 수출 비중 처음으로 중국 제쳐...북미 시장서 날개단 K뷰티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61314334596199&VN)
식품: CJ씨푸드, 삼양식품
식품2: 우양, 빙그레
식품3: 대상, 농심, 롯데웰푸드, CJ제일제당, 오리온, 동서
식품4: 신송홀딩스
제과: 크라운제과, 크라운해태홀딩스

화장품: 삐아, 실리콘투, 에이피알, 브이티
화장품2: 제이투케이바이오, 본느
화장품3: 펌텍코리아, 코스메카코리아, 실리콘투,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맥스, 뷰티스킨, 한국화장품제조, 클리오, 한국콜마, 아이패밀리에스씨, 애경산업, 아모레퍼시픽
화장품4: 마녀공장, 토니모리, 청담글로벌, 에이블씨엔씨, 원익, 에이에스텍, 선진뷰티사이언스,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미용: 클래시스, 휴젤, 비올
미용2: 파마리서치
유튜브쇼핑: 카페24

● 헬스케어
에코프로냐, 알테오젠이냐…코스닥 2위 두고 '8000억' 차이 엎치락뒤치락 (https://www.ajunews.com/view/20240612155109528)
헬스케어: 에스바이오메딕스, 삼천당제약, 알테오젠, 시노펙스, 리가켐바이오, 유한양행

플랫폼: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아일리아: 삼천당제약
혈액: 시노펙스
비만: 아이센스, 펩트론, 아이큐어
파킨슨: 에스바이오메딕스
제론: 에스티팜
아토피: 강스템바이오텍
기술수출: 압타바이오

● 가스전
다음주 ‘동해 가스전’ 예산·시추계획 본격 착수 (https://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414947)
가스관: 화성밸브, 동양철관
석유: 한국석유공업, 흥구석유, 한국ANKOR유전
유틸리티: 한국가스공사
상사: 포스코인터내셔널
시추: LS마린솔루션

시멘트: 삼표시멘트, 고려시멘트
철강: 넥스틸, 휴스틸, 하이스틸
시추: 서암기계공업, 우림피티에스

탐사: 웨이버스

● 2차전지
[1보] 테슬라 주주 총회서 ‘머스크 성과 보상안’ 재승인 (https://www.etoday.co.kr/news/view/2369734)
전해액: 덕산테코피아, 솔브레인홀딩스, 엔켐, 동화기업
전해액2: 중앙첨단소재, 광무
장비: 피엔티
실리콘음극재: 대주전자재료, 나노신소재

에코프로: 에코프로머티, 에코프로에이치엔, 에코프로비엠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DX, 포스코엠텍
전구체: 에코프로머티, 에코앤드림
전고체: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레이크머티리얼즈

리튬: 강원에너지, 포스코엠텍, 하이드로리튬
원통형: TCC스틸, 동원시스템즈
동박: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자율주행: 라이콤, 모바일어플라이언스, 라닉스

● 애플
"애플, 오픈AI와 파트너십 대가 금전 지급 조건 없어" (https://www.yna.co.kr/view/AKR20240614003500091)
애플: 아이티엠반도체, 폴라리스AI, LG이노텍, 비에이치, PI첨단소재, 덕산네오룩스
디스플레이: HB솔루션, 선익시스템, 하이비젼시스템
갤럭시링: 인터플렉스

AI: 폴라리스오피스
로봇: 두산로보틱스, 아진엑스텍

● 전력
때이른 무더위에 연일 전력수요 최고치…빠르게 증가 추세 (https://www.nocutnews.co.kr/news/6160508)
전력: 제룡산업, 제룡전기, LS에코에너지, HD현대일렉트릭, 일진전기, 워트, 효성중공업, SK이터닉스, LS, 우리기술
전력2: 한전산업, 세명전기, 풍원정밀, 제룡전기, 보성파워텍, 미코, LS머트리얼즈, 코츠테크놀로지, 제일일렉트릭

● 에너지
태양광: 한화솔루션, 대명에너지, HD현대에너지솔루션
풍력: 코오롱글로벌, SK오션플랜트

원전: 두산에너빌리티, 우진엔텍, 우리기술
원전2: 보성파워텍, 에너토크, 일진파워, 수산인더스트리, 서전기전, 슈어소프트테크, 우진, 오르비텍, 지투파워

● IPO 등
신규주: 그리드위즈 (확정공모가 : 40,000)
네이버웹툰: 와이랩, 미스터블루, 디앤씨미디어
야놀자: 아주IB투자, SBI인베스트먼트, 그래디언트
매각: 롯데손해보험, 하나투어
경영권분쟁: 래몽래인

● 방산 등
방산: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현대로템
방산2: 한국항공우주

조선: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조선2: 한화엔진
조선3: 한화오션, HD현대마린솔루션

● 기타
금융: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금융2: KB금융, 메리츠금융지주
보험: 삼성생명, 한화손해보험
차: 기아, 현대자동차, 코리아에프티
지주사: 삼성물산

SK: SK스퀘어, SK



🔶6월 14일 시장 주도주 

▶️신규상장
그리드위즈, 14일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https://zrr.kr/Sodi)
-전력: 그리드위즈 

▶️대왕고래 
산업부, '동해 가스전 개발' 석유공사에 "융자지원 재개 검토"
(https://zrr.kr/Jg2o)
-대왕고래: 한국가스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 코오롱글로벌, 넥스틸, 디케이락

▶️반도체
삼성전자 “2028년 파운드리 AI 칩 매출 9배 성장…엔비디아는 중요 고객”
(https://zrr.kr/02Cf)
-반도체: 한미반도체, 와이씨, SK하이닉스, 삼성전자 
-PCB: 태성, 이수페타시스 

▶️화장품
K뷰티, 하반기 수출도 '쾌청'…화장품株 기대
(https://zrr.kr/c56U)
-화장품: 실리콘투, 마녀공장, 토니모리, 아모레퍼시픽, 청담글로벌, 삐아, 한국화장품제조, 뷰티스킨

▶️음식료
K푸드 인기에 식품주 강세
(https://zrr.kr/IDYi)
-음식료: 우양, 삼양식품, CJ씨푸드, 한성기업, 풀무원, 크라운제과, 해태제과식품, 빙그레, 국순당, 대상

▶️2차전지
"최고 25% 관세"…EU, 중국산 전기차 질주에 브레이크 걸었다
(https://url.kr/jo21pb)
-2차전지: 에코프로머티, 대주전자재료, 덕산테코피아, 피엔티

▶️제약바이오
대통령실도 '직접방문' 알테오젠 "빅파마 문의 급증…ADC SC제형 속도"
(https://buly.kr/FsGTyQq)
-제약바이오: 알테오젠, 삼천당제약



29PER 예상 주요 섹터

이재용, 美 출장 마무리…반도체 직접 챙겼다(종합)🔥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에서 장기 출장 일정을 소화했다. 올해는 약 2주간 일정 가운데 글로벌 네트워크 역량을 발휘해 미 전역을 돌며 반도체 먹거리 발굴을 위해 직접 나섰다. 특히 이번 출장에선 메타와 아마존 등 주요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뿐 아니라 퀄컴과 현지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들을 만나 협력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AI) 연관 반도체 분야 성과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추가적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 소식이 들릴지도 주목 요소다.

이 회장은 12일 미 시애틀에 있는 아마존 본사를 가 앤디 재시 아마존 CEO를 만나기도 했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맡고 있는 전영현 DS부문장과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한진만 DSA 부사장, 최경식 북미총괄 사장 등이 배석했다. 아마존은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로 차세대 메모리를 비롯한 반도체 분야 핵심 비즈니스 파트너이다. 이 회장은 재시 CEO와 생성형 AI, 클라우드 컴퓨팅 등 주력 사업 관련 시장 전망을 공유하며 추가 협력을 논의했다.

앞서 10일엔 미국 새너제이에 있는 삼성전자 DSA에서 이 회장과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사장 겸 CEO의 회동이 있었다. 두 사람은 이 자리에서 AI 반도체와 차세대 통신칩 등 미래 반도체 시장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분야에서 경쟁사이지만 전반적인 사업에서 오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아몬 CEO는 이달 대만 행사에서 "TSMC와 삼성전자 이원화 생산을 고려하고 있다"며 삼성 파운드리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31579?sid=101

관련주 : 솔루스첨단소재, 에스앤에스텍, 이수페타시스, 링크제니시스, 자람테크놀로지, 네패스아크, 에이직랜드,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코아시아, 가온칩스, 넥스트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