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證市 動向
○ 美國
◈ 騰落率 : Dow -0.51%, S&P500 -0.62%, Nasdaq -0.63%
▷ 整理 ;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상치 상회 및 美국채금리 상승으로 하락 마감.
○ 韓國
◈ 騰落率 : KOSPI +1.21%, KOSDAQ +2.25%
▷ 展望 : 지난 이틀간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들의 수급이 "美 국채 금리"와 연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고 판단 됩니다. 증시의 흐름도 이를 반영했죠. 이를 토대로 보면 금일은 역으로 외국인 수급 악화, 증시 하락이 예상됩니다. 즉, 당분간은 더 美국채 금리 추이를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죠.
현재 美국채는 중국과 러시아 주도의 매도로 수요가 크게 줄어들다 보니 FED의 긴축 우려와 맞물려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옐런 재무장관이 인민은행 총재를 만나 美국채를 매수 해 줄 것으로 요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이 시리아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주변국에서 개입 자제노력이 진행되고 있고, 美CPI도 예상치 상회였으나 FED의 예상범주내 움지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옐런 재무장관과 이민은행 총재의 일이 성사될 경우 美증시는 상승세를 보일 수 있을 것입니다. 국내 증시도 안정을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하겠죠.
현재로서는 변동성은 있으나 수일전 바닥을 확인한만큼 더디더라도 지켜봐야겠습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금일 주목할 내용
① 외국인 이틀째 선물 대규모 환매수
② 美 9월 CPI 예상치 상회 및 이로 인한 금리 상승, 달러 강세
③ 美 물가 목표치 2% 상향론 부각
○ 최근 주목하는 지표
① 美국채 "10년물 금리 4.569%, 2년물 금리 4.999%"
② 달러인덱스 106.57pt, NDF원/달러 환율 1,347.64원(전일 정규시장 종가 1,338.50원)
③ WTI선물 $82.91/ 두바이유 $87.21/ 브렌트유 선물 $86.26
④ Fed Watch 금리 모니터링 : 인상 11월 13.3%, 12월 35.5%
○ 그외 이슈
1) 연말 美 변동성 요인
- 학자금 대출 상환(1,000억 달러 규모)
- 매카시 하원의장 해임에 따른 11/17(금)셧다운 불확실성 형성
- 美 상위 20%를 제외한 80%는 저축액 감소....구매력 위축(소비 감소)
2) 美하원의장 공백....17일까지 예산안처리 및 이스라엘 지원 위해 대행에 권한 부여 여부도 주목
3)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주변국(이란) 확전 가능성 제한적
- 빈살만과 라이시, 사우디-이란 국교 정상화 후 첫 통화 “확전 방지”
4) “바이든·시진핑, 11월 美캘리포니아 대면 회담” 1년여만에 재개 예정
- 시진핑, 중러 회담 앞두고 "美와의 관계가 가장 중요"
5) 中 경기부양 위해 최소 1조위안 국채발행 검토...곧 발표
- 인플투자, 지방정부 부채 부담 축소
6) 美 옐런, 中인민은행 총재와 회동…시진핑·바이든 회담 성사 가능성 고조
- 러, 中 "美 국채 매도" 중으로 금번 회동을 통해 美 국채 매수 요청하고자 한는 것으로 추정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10/ 17/ 화요일] 중동전쟁 루머에 따라 일희일비 (0) | 2023.10.16 |
---|---|
◐[2023/ 10/ 16/ 월요일] 美국채 금리 다시 상승 (0) | 2023.10.13 |
◐[2023/ 10/ 12/ 목요일] 변화의 조짐, 외국인 수급 개선이 관건 (0) | 2023.10.11 |
◐[2023/ 10/ 11/ 수요일] 美국채금리 하락!!!! (0) | 2023.10.10 |
◐[2023/ 10/ 10/ 화요일]악재 피크 후 정체 (0)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