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證市 動向
○ 美國
◈ 10/6 騰落率 : Dow +0.87, S&P500 +1.18%, Nasdaq +1.60%
▷ 整理 ; 고용 호조에 금리 재상승 했으나 FED의 긴축중단 기대에 상승 마감.
◈ 10/9 騰落率 : Dow +0.59, S&P500 +0.63%, Nasdaq +0.39%
▷ 整理 ; 이스라엘과 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세력)전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에 하락 출발했으나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등 주요 연준 위원들 발언에 상승 전환 마감.
○ 韓國
◈ 騰落率 : KOSPI +0.21%, KOSDAQ +1.92%
▷ 展望 : 지난주 공포 분위기가 피크를 친 후 이번주는 발생된 다수의 이슈가 진정되며 투심이 개선되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美 임금인상율도 둔화가 확연해지고 있고, 美국채금리 급등에 따른 FED 금리인상 신중론도 시장內 회자되며 힘을 얻기 시작했다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증산 가능성 미국 통보 역시 또 하나의 불확실성 제거 요인입니다.
다만 美국채 금리나 달러인덱스 하락속도나 절대치가 아직은 높은 상황이라 시장은 확인하기 위해 관망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주 FOMC 의사록과 美CPI 발표도 앞두고 있고,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전쟁은 자칫 유가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주는 미국채 금리추이와 함께 환율 그리고 팔레스타인 뒤 이란이 있는지를 주목하며 단순히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전쟁으로 마무리될 경우 증시에 영향은 단발성이 될 수 있습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 KOSPI, 2023년 외국인 순매수 최고금액 : 6/16 코스피 14조0,631억원
① 코스피 +7조3,273억원(-3,263억원)/ 코스닥 -5,145억원(+1,837억원)
② 외국인 선물 누적 순매도 -78,997계약(+775계약)
○ 최근 주목하는 지표
① 美국채 "10년물 금리 4.795%, 2년물 금리 5.081%"
② 달러인덱스 106.06pt, NDF원/달러 환율 1,345.28원(전일 정규시장 종가 1,349.90원)
③ WTI선물 $86.38/ 두바이유 $85.88/ 브렌트유 선물 $88.26
④ Fed Watch 금리 모니터링 : 인상 11월 27.1%, 12월 42.4%
○ 금일 주목할 내용
① 국내시장 피보나치 되돌림 62.8% 기준 이번주 반등시도 영역
② 美 9월 비농업 고용 급증에 美국채 금리 상승 후 FED 신중론에 상승폭 일부 반환
③ 사우디 "원유 증산 용의" 미국에 통보
④ 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하마스) 전쟁으로 인한 유가 움직임 주목(이란 개입 여부)
○ 그외 이슈
1) 주담대출 7% 대....가계부채 불안
2) 韓, 증권사 PF 부실채권율 21%....10월 부터 PF·건설사 7.2조 정책금융 지원
- 익스포저 28조·채무보증 23조 만기연장, 부동산펀드 규모 빠져 건전성 지표 왜곡
- 부실채권, 연체율 지속 상승…"손실 더 커질 수 있어"
3) 韓, 자금 마른 기업들 줄도산 공포… ‘풋옵션(메자닌 채권)’ 트리거
- 고금리 고착화, 경기부진 장기화에 '한계기업 도미노 부도' 우려,
4) 다이먼 JP모건회장 "스태그플레이션·7%금리" 전망
5) 피치, 美하원의장 해임에 "셧다운 가능성…신용등급엔 영향 無"
6) 연말 美 변동성 요인
- 학자금 대출 상환(1,000억 달러 규모)
- 매카시 하원의장 해임에 따른 11/17(금)셧다운 불확실성 형성
- 美 상위 20%를 제외한 80%는 저축액 감소....구매력 위축(소비 감소)
7)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쟁...주변국 확대 여부에 따라 유가 급등
- 팔 레스타인 가자지구 무장 정파 하마스,무장대원 이스라엘 침투 및 로켓 발사
- 이스라엘 보복 전쟁
8)“바이든·시진핑, 11월 美캘리포니아 대면 회담” 1년여만에 재개 예정
9) 채권왕 건들락 "미국채 수익률, 경기침체 임박 경고…고용도 둔화 될 것"
- 월가 美국채 금리 30년물 5%대 전망
10) WSJ “사우디, ‘원유 증산 용의 있다’ 미 정부에 통보”.. 지지대 $82 이탈 여부 주목
- 러 디젤 수출 금지 완화 가능성도 긍정적
11) 中 경제, 낙관론 부각되며 中투자 외국인 매도세 축소
- 美中 관계 개선 기대감 및 中정책 당국의 부양 효과 가시화 등에 따른 영향
12) 美 채권시장 9일 '콜럼버스 날'로 휴장…주식시장은 개장
13) 지난 6일 발표된 美고용지표 해석
- 실업률 유지, 시간당 평균 임금 예상치 하회, 계절성 파트 타임 고용 급증, 정규직은 감소
- 결론 고용의 질 악화 및 인플레 영향을 주는 임금 상승률은 점진적 둔화
14) 韓 강달러 방어... 9월 외환보유액 42억달러↓
15) 중국, ‘尹대만 발언’ 이후 韓드라마 심의허가 전면 중단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10/ 12/ 목요일] 변화의 조짐, 외국인 수급 개선이 관건 (0) | 2023.10.11 |
---|---|
◐[2023/ 10/ 11/ 수요일] 美국채금리 하락!!!! (0) | 2023.10.10 |
◐[2023/ 10/ 06/ 금요일]좀 더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0) | 2023.10.05 |
리비안, 15억 달러의 전환형 선순위 채권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시간외 -7%) (0) | 2023.10.05 |
◐[2023/ 10/ 05/ 목요일]되돌림....그러나 (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