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投資/證券.不動産

♣[19/03/04/월요일]경제 그리고 수급♣

♣[19/03/04/월요일]경제 그리고 수급♣



  글로벌 동향

◈ 美 주식시장
     美中 무역협상 최종안 마련 소식과 물가지수 약화 소식에 "상승" 
          Dow +0.43%  S&P500  +.0.69%,   Nasdaq +0.83%

◈ 유럽 주식시장
      노딜 브렉시트+ 美中 무혁협상 타결 기대에 "상승"
          Stoxx50  +0.42pt

◈ 통화 및 채권, 금
    ☞ 엔/달러 111.81(+0.54%).......전년말 109.64

☞ 달러/유로 1.139(+0.09%).......전년말 1.146
☞ 미국 2 년물 금리 2.557%p (+0.020%p).......전년말 2.496%pt
☞ 미국10 년물 금리 2.754%p (+0.037%p).......전년말 2.686%pt
☞ COMEX GOLD 1oz. $1,299.20 (-1.28%).......전년말 $1,281.30


◈ 서부텍사스산 중질유

☞ 美 소비/제조업 지표 등 경제지표 부진에 "하락" / $55.80(-2.48%).......전년말 $45.41

 심리지표와 달러인덱스

 공포와 탐욕지수 72point (100 point 기준), VIX 13.57 (-8.99%) 
☞ Dollar Index 96.38pt(+0.35%), 3월 금리동결 확율 100%

 CME 야간시장

 종가 283.60pt대비 -0.25pt (0.09%)환산지수 2,193.51pt.

 주요국 경제 일정
     韓: Nikkei제조업PMI.

 中: 없음. 
 유로존: PPI.
 : ISM뉴욕지수, 건설지출. 


  국내 동향

 전일 지수 등락율   
    Kospi 2,195.44pt   -39.35pt(1.76%)/   Kosdaq 731.25pt   -20.91pt(2.78%)


◈ 국내외 Check Point
    ☞ MSCI EM 내 中 A주 비중 5%→ 20%로 상향...韓 0.8% 전후 감소

   - 5월 10%, 8월 15%, 11월 20%/ FTSE도 6월부터 벤치마크 지수에 中 본토 편입
   - MSCI EM 추종 자금 2조달러 정도, 中 추가 유입자금 823억 달러
   - 韓 이탈자금 160억달러 전후, 패시브 자금 12% 감안시 2조원 전후 이탈 예상
☞ 中과 무역협상... 美內 엇갈린 평가 불구, 3월 중순 최종합의 준비 중 

   美무역대표부 대표, 세출위에서 美中 무역협상 낙관 일러
   - 스티븐 므누신 美재무장관과 래리 커들로 NEC 위원장 상당한 진전

☞ 뮬러특검→ 마이클 코언 증언...트럼프 정치생명 위협 될 듯
   
- 힐러리 클린턴이메일 스캔들, 러시아 스캔들, 성관계 여성 입막음용 자금
☞ 北美 정상회담 결렬...판이 깨졌다기 보다 조율과정(수주내 양국 재협상 가능성 시사)
   - 美內 여야 모두 결렬을 긍정적 평가...섣부른 협상 보다 준비된 결과 필요.
   - 트럼프, 이미 장기전 예고, 이번 협상은 정치상황을 전략적 이용한 것.
   - 코언 상황과 판을 뒤집어 압박하는 트럼프 특유의 협상 전략이 결렬 원인
☞ 3/29 브렉시트...3/13 의회에서 노딜 브렉시트 찬반투표   
☞ 美 경제지표 일부 둔화신호 본격화...소비 및 제조업 지표 쇼크 등
☞ 3/3 中 양회, 경기부양책 강도 주목   

    
  금일 투자 전략  

3.1절 연휴동안 이슈가 좀  있었죠 ① "MSCI EM 지수 조정" 中 A주 비중확대 가속화, 중소형주 편입→ 韓 심리적 부담 및 즉각 반영되는 패시브자금 2조원 전후, 나머지는 2019년 분산→ 최근 EM지수로 유입되는 상황 감안시 충격 제한적, ② 美내 우려 불구, "中과 무역협상 3월중 합의 예정대로 진행", ③ "美北 정상회담 결렬, 과도한 선반영", ④ "물러특검 관련 코언증언"→ 트럼프 좁아진 정치적 입지, 돌발행동 우려, ⑤ "美 경제지표 일부 둔화신호 본격화" 등 입니다.

이 이슈 중 ①은 법보다 가까운 주먹이고, 나머지는 트럼프 돌발 행동을 조장하는 내용이며, 北美 정상회담의 결렬은 준비가 안된 것이 아니라 트럼프 특유의 협상 방식이며 한편으로 국내 정치적 곤경과 선거를 위한 히든카드로 미뤄 놓은 것이죠.

상기 내용이 새로운 이슈는 아니지만 뭔가 부담스럽고 불안합니까? 글쎄요 그러나 의외로 답은 간단할 것 같습니다. 금일 시장은 "전약후강" 패턴 정도. 그렇게 보는 이유는 야간선물지수 하락과 달러인덱스 상승, 일부 종목 반대매매 등은 하락출발의 원인이지만 28일과 금일 하락까지는 과도하다는 공감대! 그리고 EM시장내 자금 유입등은 저가매수로 이어져 낙폭 축소 시도를 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죠.

어차피 1Q~ 2Q 사이 변동성은 예상해 드렸던 부분이 아닌가요? 큰 흐름 바뀌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