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投資/證券.不動産

♣[18/11/1/목]고공행진 중인 달러 인덱스♣

♣[18/11/1/목]고공행진 중인 달러 인덱스♣



  글로벌 동향

◈ 주식
시장

 미국 : 경제지표 개선+ 기업실적에 "상승"

 Dow  +0.97%  S&P  +2.01%,  Nasdaq  +1.09%

 유럽 : 기업실적+ 소비자물가지수 호조에 "상승" 

 스톡스 50 +1.60%

◈ 통화와 금속

☞ 엔/달러 112.96(+0.03%).......전년말 112.68

☞ 위안/달러 6.973 (+0.11%).......전년말 6.51

☞ 미국 2 년물 금리 2.871%p (+0.020%p).......전년말 1.887%pt

☞ 미국10 년물 금리 3.151%p (+0.026%p).......전년말 2.410%pt

☞ 일본10 년물 금리 0.129%p (+0.010%p).......전년말 0.050%pt

☞ COMEX GOLD 1oz. 1,212.30(-0.84%).......전년말 1,306.30

☞ NYMEX White GOLD 1oz. 839.40(+0.58%).......전년말 934.20

☞ LME Copper 3M. 6,032.00 (-2.08%).......전년말 7,247


◈ 서부텍사스산 중질유

☞ 美재고량 증가에 이틀째 "하락" / $65.31(-1.31%).......전년말 $60.42


 심리지표와 달러인덱스

 탐욕지수 7point (100 point 기준), VIX 21.23 (-9.08%) 

☞ Dollar Index 96.90pt(+0.11%), 12월 금리인상 확율 71.7%


 CME 야간시장

 종가 265.55pt대비 +1.45pt (0.54%)환산지수 2,040.83pt.


 주요국 경제 일정

 韓: 인플레이션율, 무역수지, 수출입, Nikkei 제조업 PMI.

 中Caixin 제조업 PMI.
 유로존: 없음. 
 주간신규실업수당신청건수, Markit 제조업 PMI, 건설지출, ISM제조업PMI.


  국내 동향


 전일 지수 등락율    

Kospi 2,029.69pt   +15.00pt(0.74%) Kosdaq 648.67pt   +4.53pt(0.70%)


 국내외 issue

☞ 달러 인덱스 97pt 육박
- 미중 무역분쟁 및 유로존 경기 둔화 조짐 여파
☞ 트럼프, 11/29 미중 정상회담에서 무역협상 합의 기대
- 성사되지 않을 경우 대규모 추가관세 부과 예고
-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미중 무역전쟁 연내 종료 전망
☞ Fed위원들, 2019년까지 장기 연방기금 금리 수준 3% 언급후 채권금리 안정 
- 2019년 금리인상 횟수 3회→ 2회 가능성 전망 확산
☞ 11/6 미국 중간선거, 11/8 옵션만기
☞ 세계 반도체 업황 회색
- 삼성전자 반도체 투자 기존보다 축소, 
- 미국기업 중국 푸젠진화 거래중단 지시
- 대만 UMC 중국 푸젠진화와 기술협력 중단


  금일 투자 전략 

현재 시장 하락의 주된 원인은 "외국인 수급악화", 외국인 수급 악화의 주된 원인은 "달러 강세 및 美와 금리차 확대" 글로벌 단기성 자금 환차손 회피 필요, 이로 인한 고금리의 美으로 이동.


극저평가의 코스피가 10/30 바닥이후 반등시도를 하고 있지만 강하지 못한 이유는 결국 앞서 말씀드린 요인때문. 문제는 달러 강세의 여건이 지속 확대되고 있다는 것. ① 유로존 성장율 둔화, ②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영향, ③ Fed의 금리인상 등이 그 것. 


현재 시장은 위기수준의 저평가임에도 반등을 위해서는 "달러 강세"가 진정되야 한다는 전제조건 필수. 이 흐름의 변곡점은 ① 미중 무역분쟁 해소 혹은 ② 유로존 성장율 회복과 Fed 의 금리인상 중단이 되는 싯점. 아쉽지만 현재로서는 시간소요가 불가피. 그러나 추가하락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 하락시마다 점진적 진입은 유효. 정리하자면 시장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챠트상으로는 쌍바닥 패턴을 만들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하락시 진입하는 전략이 바람직 (※직전저점 1,985pt 우상향 쌍바닥이 가능하다면 2,000pt 지지가 나올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