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證券.不動産

◐[2023/ 10/ 11/ 수요일] 美국채금리 하락!!!!

효마을365요양원 2023. 10. 10. 08:33

 

♣️ 證市 動向  
    美國 
        ◈ 騰落率 :  Dow +0.40,    S&P500  +0.52%,    Nasdaq  +0.58
%
          ▷ 整理 ;  FED 위원들의 비둘기파적 발언+ 美국채금리 및 달러인덱스 하락에 상승 마감

    韓國     
        ◈ 騰落率 : KOSPI  -0.26%,   KOSDAQ  -2.62% 

          ▷ 展望 : 글로벌 증시 대비 전일 국내 증시는 상당히 취약한 모습이었는데 이 흐름에는 외국인 수급 악화 도 원인이었지만 신용담보부족에 따른 매물 출회도 영향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코스닥은 2차전지로 공매도 물량까지 집중되면서 낙폭이 컸던 것이 특징입니다. 종가에 외국인 숏커버링이 일부 있었지만....

금일은 이런 흐름에 변화가 예상됩니다.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던 美국채금리 상승과 달러인덱스 상승이 하락으로 전환되었고 원/달러 환율도 역외 시장에서 큰 폭으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상승 출발이 가능해 보이는데 문제는 신용 담보부족물량 털기를 더 진행할 경우 전강후약 패턴의 흐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 입니다.

하마스 뒤 이란이 있다는 근거를 찾지 못했다는 美의 발표는 많은 의미를 담습니다. 주변국으로 확전 시 美 인플레이션등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주변국 확전을 막고자 하는 것으로 보이며, 중동 전쟁으로 인한 금리급락 전환이 형성되었고, 연준위원들의 "금리인상 신중론"도 시장의 불안을 해소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시장이 이런 흐름을 종가까지 갖고 가서 유의미한 흐름을 만드는지, 매물에 굴복하는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금일 주목할 내용
        이스라엘 vs 하마스 전쟁은 주변국 확전되지 않을 듯
       ② FED 위원들 비둘기파적 색채로 변화

       ③ 美 국채금리 급락에 따른 시장 변화 조짐

   ○ 최근 주목하는 지표
       ① 美국채 "10년물 금리 4.656%, 2년물 금리 4.968%"
       ② 달러인덱스 105.77pt, NDF원/달러 환율 1,342.87원(전일 정규시장 종가 1,349.90원)
       ③ WTI선물 $85.92/ 두바이유 $88.54/ 브렌트유 선물 $87.69
       ④ Fed Watch 금리 모니터링 : 인상 11월  13.2%,  12월 27.1%
    그외 이슈                     
       1) 연말 美 변동성 요인
           - 학자금 대출 상환(1,000억 달러 규모)
           - 매카시 하원의장 해임에 따른 11/17(금)셧다운 불확실성 형성
           - 美 상위 20%를 제외한 80%는 저축액 감소....구매력 위축(소비 감소)

       2) 피치, 美하원의장 해임에 "셧다운 가능성…신용등급엔 영향 無"
        3)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주변국(이란) 확전 가능성 제한적
           - 빈살만,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 전화 통화....하마스와 지지가 아님 
      4) “바이든·시진핑, 11월 美캘리포니아 대면 회담” 1년여만에 재개 예정
      5)WSJ “사우디, ‘원유 증산 용의 있다’ 미 정부에 통보”..지지대 $82 이탈 여부 주목
          - 러 디젤 수출 금지 완화 가능성도 긍정적

      6) "美, 러시아산 원유 제재 회피 업체 조사"…러 압박
      7)中 경제, 낙관론 부각되며 中투자 외국인 매도세 축소
           - 美中관계 개선 기대감 및 中정책 당국의 부양 효과 가시화 등에 따른 영향

      8) JP모간, 채권 일드 하락 예상, 다만 주식 여전히 신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