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8/수요일]파월의 금리인상 칼춤에 놀란 증시
◐[2023/ 3/ 8/수요일]파월의 금리인상 칼춤에 놀란 증시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지난 밤 : Dow -1.72%, S&P500 -1.53%, Nasdaq -1.25%
▷ 整理 ; 파월 연준의장의 매파적 발언 (3월 빅스텝 가능성 언급)에 급락 마감.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 Kospi +0.03% Kosdaq -0.09%
▷ 展望 ; 조울증 환자 같은 증시
현재 증시는 연준의 통화긴축과 경기사이에서 갈팡질팡 방향을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Fed의 통화정책 전망에 따라 일희일비의 감정기복이 심한 조울증환자 같은 상황이죠. 시장이 파월 연준의장을 믿지 않고 내 갈길을 간다라고 외치면서도 그가 한마디 할 때마다 충격을 받는 모양새입니다.
다시 한번 현재 증시 주변 상황을 핵심만 정리해 보면,
① Fed의 통화긴축에 따른 유동성 고갈 우려, ② Fed의 통화긴축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가능성 우려가 시장의 감정을 변화시키는 주된 요인이죠. 특히나 신흥국 충격이 더 클 텐데....금리차가 커진 우리나라 역시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여기다 美이 對中 제재를 핑계로 국내 첨단산업을 통제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리스크입니다.
② 물론, 일본 통화정책이나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인한 유동성 확대가 시장의 맥을 유지시키고 있으나 앞서 언급한 부담이 더 크기에 시장의 조울증이 자칫 최악을 만들 가능성도 있어 늘 경계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포기하자는 것은 아닙니다. 불안의 벽을 타고 오르는 것이 주식 시장이니까요!
♣️ 國內外 Issue 整理
○ 국내증시, 2023년 외국인 순매수 (2020년~2022년까지 62.2조 순매도)
- 순매수 규모 +7조9,055억원(+3,403억원)
○ 주요일정
- 3/9 韓선물옵션 만기일
- 3/10 BOJ 통화정책회의/美 고용지표 주목
- 3/16 ECB 통화정책 회의
- 3/17 美선물옵션만기일
- 3/21~22 FOMC
- 3/23~24 EU 정상회의
○ KOSPI 마디지수 2,450pt를 넘어 2,500pt를 향해서....환율 1,300원 전후 등락 中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의회 청문회 발언
- 인플레이션 잠재력을 막기위해 매파적 발언
- 3월 FOMC 빅스텝 가능성 시사
- 2023년 최종금리 : 5.5% ~5.75%.
※ 3ㆍ5ㆍ6월 금리 인상 확정, 2023년 연말까지 금리 인하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