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證券.不動産

◐[2023/ 3/ 2/목요일]기대와 우려사이는 변동성 장세

효마을365요양원 2023. 2. 28. 08:18

◐[2023/ 3/ 2/목요일]기대와 우려사이는 변동성 장세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지난 밤 : Dow +0.02%,    S&P500  -0.47%,    Nasdaq -0.66%      
   ▷ 整理 ; ISM제조업지수 호조에 美 10년물 국채금리 4% 돌파로 혼조 마감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 Kospi  +0.42%    Kosdaq  +1.45%  
   ▷ 展望 ; 기대감과 우려감이 교차하며 변동성 장세 지속


전일은 환율 1,322.60원으로 0.40원 하락에 외국인 선물 매수했으나 현물매수는 2023년 누적으로 7조원 붕괴. 코스피 보다는 코스닥 강세가 특징적이었죠. 뉴욕 증시에서는 미국채 금리와 달러인덱스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Fed의 통화긴축 장기화 우려와 추후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을 키우고 있기도 하죠.

한마디로 기대감은 축소되었고 우려와 불안감은 커진셈 이죠. 이런 경우 시장 참여자가 방향성을 잡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는 어렵습니다. 외국인이라고 예외는 아닐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이들도, KOSPI에서 2023년 순매수 누적규모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겠죠. KOSPI는 당분간은 방향성을 상실한 변동성 장세를 더 이어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환율이 안정되고 외국인 수급이 호전되어 KOSPI가 추세내 복귀전까지는 방어적 대응을 유지해야 할 것 같습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 국내증시, 2023년 외국인 순매수 (2020년~2022년까지 62.2조 순매도)
      - 순매수 규모 +6조7,942억원(-2,88
3억원)
         ※ 환율 하락에 선물매수 
         ※ 금융투자 2023년 누적 매매규모 -3조0,007억원(+2,584억원)
   ○ 주요일정
       - 3/3 2月 美고용보고서, Fed 베이지북 공개, 2023 MWC (2/27~ 3/2)
       - 3/4 중국 양회(정협 3/4, 전인대 3/5 개막) 
       - 3/9 韓선물옵션 만기일
       - 3/10 BOJ 통화정책회의
       - 3/16 ECB 통화정책 회의
       - 3/17 美선물옵션만기일
         ※ 경제지표 및 원자재 상승, 러제재 및 미중 관계 악화 중 3/3 美고용보고서 호조일 경우 50bp 인상 무게
         ※ 월가일각에서는 6.0%이상까지 금리인상 전망, 경기침체 우려도 확산
       - 3/21~22 FOMC
       - 3/23~24 EU 정상회의
         ※ 경제지표 및 원자재 상승, 러제재 및 미중 관계 악화 중 3/3 美고용보고서 호조일 경우 50bp 인상 무게
         ※ 일각에서는 6.0%이상까지 금리인상 전망
    KOSPI 마디지수 2,400pt 방어 안간힘...환율 1,320원대 이상에서 등락 中
   ○ 월가, 주식시장 상승 경고...올 1분기 최고점 기록 전망
    홍콩 항셍H +5% 상승, 상품가격도 강세
    美 광범위한 무더기 對러 제재
    中 공식·민간 제조업 경기지표 호조…리오프닝 효과 본격화
   ○ 韓 수출감소에 따른 글로벌 경기 우려 증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