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4/ 화요일] 신용시장 경색 조짐
●[2020/03/24/ 화요일] 신용시장 경색 조짐
♣️ 글로벌 동향
◈ 美 ; 무제한 양적완화에도 불구 신용위기 불안 지속에 "하락"
▷ Dow -3.04%, S&P500 -2.93%, Nasdaq -0.27%
◈ EU ; 코로나 팬데믹 공포에 "하락"
▷ Stoxx 50 +2.74%
◈ 통화 및 채권, 금(작성싯점 실시간 가격)
▷ 유로/달러→ 1.072 (전일 1.070)... 전년말 1.121
▷ 달러/엔→ 111.253 (전일 110.787)... 전년말 108.615
▷ 미국 2 년물 금리→ 0.312% p (전일 0.325% p)... 전년말 1.571% pt
▷ 미국 10 년물 금리→ 0.786% p (전일 0.885% P)... 전년말 1.919% pt
▷ COMEX GOLD 1oz.→ $1,562.05 (전일 $1,501.15)...전년말 $1,519.95
▷ WTI→ $23.72 (전일 $23.66)....전년말 $61.20
◈ 심리지표와 달러 인덱스
▷ 공포와 탐욕 지수 5pt (패닉), VIX 66.04 (-8.28%)
▷ Dollar Index 103.180pt(-0.31%), 4월 금리인하 확률 0.00%
https://t.me/happystock5 장 중 시장정보
♣️ 한국 동향
▷ 전일 지수 : Kospi 1,482.46 pt +108.51 pt(+7.44%)/ Kosdaq 467.75pt +39.40pt(+9.20%)
◈ 한국물 MSCI ETF, 야간선물지수
▷ MSCI ETF 한국물 38.97pt -1.61pt (-3.97%)
▷ 야간선물지수 203.30pt +3.90pt (+1.96%) 환산지수 1,511.45 pt
◈ 국내외 Check Point
▷ 코로나 팬데믹→ 각 국 모든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 총동원...경제충격 방어 안간힘
▷ 연준, 금리인하→ QE4(모기지 무제한 매입)→ 신용경색 막기 위한 회사채 매입 예상
- 美 투기강등 위험 회사채 306조....커지는 디폴트 우려
- 연준, 필요하면 회사채 뿐 아니라 주식도 매입
- 연준 블라드 총재, 3개월 전국휴무+ 소득 전액 보장선언 필요
▷ 글로벌 자금(기업, IB 등)→ 실물자산 팔아 Only "$" 자금 매집 및 Vol 환매수
▷ 트럼프, "사우디-러시아 석유전쟁에 개입할 것"...美 40년만에 감산 논의
▷ ECB, 필요할 경우 추가 경기부양책도 제시 가능
▷ 24일 韓정부, 금융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예정
- 한은, 외환보유고 풀어 달러 공급 계획
▷ 美상원, 1조달러 경기부양법안 부결
♣️ 금일 투자 전략
아직 변화를 논하기 이르나 美 국채가 하방경직성을 보이고, 금 값이나 유가도 돌아설 조짐을 보이면서 조금씩 변화 가능성이 감지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은 미흡한 수준이죠. 연준은 유동성 대안을 지속적으로 내놓되 美의회도 움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세계 시장이 안정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① 美과 유럽의 코로나 확산 진정, ② 美 상.하원이 대규모 재정정책 승인, ③ 연준의 신용경색 직접개입 (회사채 및 주식 매입) 등이 확인되어야 할 것입니다.
아직까지는 가시화되는데 시간이 소요될 것이고, 기업은 달러자금 마련을 위한 움직임이 더 이어지면서 변동성 확대는 연장된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최저 바닥에서 진입하기는 어려운 법! 그런만큼 분할매수가 유효하지만 반드시 현금매수 이어야 할 것입니다. 물론 기업도 시장독점+ 현금보유의 우량기업어야겠죠. 이외에도 기업의 생산중단과 과도하게 풀린 유동성은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만들겁니다. 최근 금값이 하락을 멈추고 며칠 올라오는 것은 그런 맥락입니다. 달러의 약세는 美의회에 달려 있으며 유가가 안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상기 나열해 드린 것을 체크하기 귀찮다면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재매수 하는 싯점을 주목하면 됩니다.
금일 시장입니다. 전일 전세게 시장 하락의 주범은 美의회였죠. 일단 이부분 우리는 선반영으로 봅니다. 이에 따라 코스피는 1,500pt 이상으로 출발이 예상되며 아침 담보부족 물량을 소화하면서 1,510pt 위로 올라설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달러인덱스 하락에도 NDF 시장에서 환율은 약세를 보인만큼 외국인 매도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