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1. 23. 금요일
[SK시황 하인환] 무역전쟁의 함정, 미국과 중국의 합의는 정말 호재일까??
SK증권 Market Analyst 하인환
02-3773-8887
보고서 링크 : http://bit.ly/2S6a4qD
12월 1일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동안 주식시장을 억눌러왔던 이슈인 만큼, 합의가 이뤄질 경우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극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이 이토록 중국을 압박하는 데에는, 그리고 중국이 3차 관세부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굴복하지 않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단순히 해결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힘든 문제임은 분명하다.
SK증권에서는 G2의 합의가 이뤄질 경우, 주식시장의 상승 랠리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전망이다.
하지만 우리는 합의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며, 만약 합의가 나타날 경우에는 상승 랠리가 나타날 수는 있지만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실현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1) 미국과 중국의 합의는 호재일까? 오히려 최악의 시나리오일 수도 있다!
→ G2의 합의가 주식시장에 호재가 되기 위해서는 시진핑 주석이 아닌, 트럼프 대통령이 양보해야 함.
→ 시진핑 주석이 양보해서 합의가 이뤄질 경우 증시는 상승하겠지만,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의문
2) 미국이 얻고자 하는 것 vs 중국이 지키고자 하는 것 : 중국의 ‘기술 탈취’
→ 미국 무역대표부(USTR)은 11월 20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기술 탈취’에 대해 지적.
→ 이는 얼마전 중국이 미국 측에 제안했던 142개 양보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3~4개 큰 사안이 빠져 있다’라고 언급한 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임.
→ 즉, 미국과 중국이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것은 바로 ‘기술 탈취’ 부분
3) 제2의 플라자 합의는 환율이 아닐 수도 있다!
→ 미국이 문제 삼는 것은 ‘중국제조 2025’.
→ 하지만 중국이 이를 포기할 경우, 향후 성장에 대한 방향성을 상실하는 문제에 직면.
→ 3차 관세부과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미국에 굴복하지 않는 이유는 이것 때문이라고 판단.
→ 플라자 합의 이후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것과 같은 성장 둔화를 겪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음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담당자의 결재가 완료된 것입니다[SK시황 하인환] 무역전쟁의 함정, 미국과 중국의 합의는 정말 호재일까??
SK증권 Market Analyst 하인환
02-3773-8887
보고서 링크 : http://bit.ly/2S6a4qD
12월 1일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동안 주식시장을 억눌러왔던 이슈인 만큼, 합의가 이뤄질 경우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극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이 이토록 중국을 압박하는 데에는, 그리고 중국이 3차 관세부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굴복하지 않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단순히 해결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힘든 문제임은 분명하다.
SK증권에서는 G2의 합의가 이뤄질 경우, 주식시장의 상승 랠리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전망이다.
하지만 우리는 합의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며, 만약 합의가 나타날 경우에는 상승 랠리가 나타날 수는 있지만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실현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1) 미국과 중국의 합의는 호재일까? 오히려 최악의 시나리오일 수도 있다!
→ G2의 합의가 주식시장에 호재가 되기 위해서는 시진핑 주석이 아닌, 트럼프 대통령이 양보해야 함.
→ 시진핑 주석이 양보해서 합의가 이뤄질 경우 증시는 상승하겠지만,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의문
2) 미국이 얻고자 하는 것 vs 중국이 지키고자 하는 것 : 중국의 ‘기술 탈취’
→ 미국 무역대표부(USTR)은 11월 20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기술 탈취’에 대해 지적.
→ 이는 얼마전 중국이 미국 측에 제안했던 142개 양보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3~4개 큰 사안이 빠져 있다’라고 언급한 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임.
→ 즉, 미국과 중국이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것은 바로 ‘기술 탈취’ 부분
3) 제2의 플라자 합의는 환율이 아닐 수도 있다!
→ 미국이 문제 삼는 것은 ‘중국제조 2025’.
→ 하지만 중국이 이를 포기할 경우, 향후 성장에 대한 방향성을 상실하는 문제에 직면.
→ 3차 관세부과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미국에 굴복하지 않는 이유는 이것 때문이라고 판단.
→ 플라자 합의 이후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것과 같은 성장 둔화를 겪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음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담당자의 결재가 완료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