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1. 12. 월요일
[대신 음식료 한유정] 음식료 3Q18 실적발표 예정일
* 농심 실적발표일이 14일에서 13일로 변경되었습니다. 실적발표는 3시에서 3시반 사이에 있을 예정입니다.
▶️ 11/12 현대그린푸드
▶️ 11/13 농심
▶️ 11/14 대상, 하이트진로, 롯데칠성, 롯데푸드, 롯데제과, 매일유업, 빙그레, spc삼립, 오뚜기, 무학, 대한제당, 국순당, 해태제과, 크라운제과, 남양유업
▶️기발표:
10/30 KT&G, 11/2 동원F&B, 신세계푸드, 11/6 오리온, 11/7 동원산업, 11/8 CJ제일제당, 11/9 CJ프레시웨이
[Media] 4Q는 광고, 컨텐츠, 영화 모두 성수기
*대신 통신/미디어 김회재*
1. 컨텐츠. 스듀와 JCon 모두 넷플릭스 주가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중. 무난했던 실적 확인하면서 반등 노리고 있는 상황. 단기 주가는 화제작의 시청률과 판권판매에 반응할 것. 11/26 JTBC [일단 뜨겁게 청소하라], 12/1 tvN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주가 트리거가 될 수 있을 것
2. 영화. 추석 연휴 이후 6주 만에 주간 관객수 반등. 하지만, 지난 6주간의 역성장은 17년과 18년의 추석 시점 차이에 의한 착시효과에 불과. 영화시장은 급성장은 아니어도 연간 관객수 1~2%의 완만한 성장은 충분히 가능. 다만, 기대했던 CGV 베트남 법인 상장에 따른 극장 관심은 상장추진 철회로 인해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1월 중순부터 개봉되는 연말 성수기 기대작들의 작품 성과에 따라 주가 방향성 결정 전망
3. 광고. 기관의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에서 펀더멘탈과 무관한 매도 발생하며 나스미디어 주간 큰 폭 하락. 3Q 실적은 부진했지만, 4Q 신작 게임 출시에 따른 광고 집행 증가 가능성 감안시 온라인 렙사의 주가는 매우 저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
4. 유료방송. M&A 뉴스에 따라 주가 등락 반복 중. 시점의 문제일 뿐 IPTV 사업자들이 CATV 인수하는 방향성은 유효. 스카이와 CJ헬로 모두 M&A시 산정된 가입자당 가치가 기업가치에 연동되어 주가에 반영 전망
5. 주간 추천: SBS. 방통위, 11/9 방송광고 제도 개선에 대한 정책방향 발표 통해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추진 공식화. 11월 중 입법예고 후 의견수렴 과정 거쳐 방송법 시행령 개정 예정. 191Q 중에는 지상파 중간광고 시행 가능성 높다고 판단
#상기 내용 컴플라이언스 필#
[대신 음식료 한유정] F&B Weekly: 선봉에 선 CJ제일제당과 오리온
▶️ 전주 동향
- 11.05~11.09 음식료 업종은 0.8% 상승하며 시장 대비 1.3%p 상회
- 오리온, CJ제일제당은 전주 실적 발표 이후 주간 상승 마감
▶️ 금주 전망
- 외국인 지분율이 38.9%에 달하는 오리온은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어 단기 주가 약세 예상
- CJ제일제당의 경우 분기 비용 배분 차이 등으로 4분기 이익 증가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형 M&A를 앞두고 있어 매수세가 몰릴 가능성
▶️ 주간 수급 Top/Bottom 5 (단위: 십억원)
- 기관 순매수
오리온(+9,897), 오뚜기(+1,605), CJ제일제당(+1,502), SPC삼립(+995), 빙그레(+715)
- 외국인 순매수
CJ제일제당(+6,311), 동원산업(+3,188), 롯데칠성(+1,615), 동원F&B(+1,564), 농심(+1,136)
- 기관 순매도
동원산업(-7,825), 신세계푸드(-4,167), 롯데칠성(-4,079), CJ프레시웨이(-3,430), 농심(-3,320)
- 외국인 순매도
오리온(-17,261), KT&G(-9,556), 하이트진로(-611), 빙그레(-372), 오뚜기(-250)
자세한 내용은 자료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bit.ly/2DbaFDn
안녕하세요.
대신증권 기업리서치부에서 IT(전기전자/휴대폰,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업종을 담당하고 있는 박강호 입니다.
2018년 11월 12일 월요일
[LG전자]: 프리미엄과 저평가에 투자
-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05,000원 유지
- 최근 LG전자의 주가는 상승세를 시현. 지난 10월 29일(59,400원) 대비 20%(11월 9일 71,400원) 상승하였으며 추가로 상승 여력(목표주가 대비)은 있다고 판단
- 2018년 4분기 영업이익(연결, 4,846억원)은 종전 추정치(4,320억원)를 상회하는 동시에 컨센서스(4,844억원)에 부합 전망, 4분기에 일부 컨센서스가 상향될 것으로 기대. 2018년 주당순이익(EPS)을 종전 대비 2.1% 상향
- 연결기준으로 2019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2018년 대비 각각 6.2%, 3.1% 증가 전망
- 밸류에이션 매력도와 2019년 상반기 실적 호조를 감안하면 현 시점에서 비중확대 전략 유지. 2018년 실적 기준으로 P/E 7.2배, P/B 0.88 배를 감안하면 다른 IT 기업 대비 하방 경직성 보유
링크: http://money2.daishin.com/PDF/Out/intranet_data/product/researchcenter/report/2018/11/31959_20181112_lge_issue.pdf
[IT뉴스]
18.11.12(오전)
전기전자
1. 삼성·LG 전략은 외연확장…신사업 아닌 연결사업으로(아투)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1105010001865
인공지능/자율주행/전기차/신재생에너지
1. 韓 클라우드시장 공략 'AWS-MS-오라클', 차별점은?(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110_0000469444
18.11.9 ~ 18.11.11
전기전자
1. 삼성發 폴더블폰 시대…LG·화웨이·애플 추격나서(매경)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706652
2. 애플-아마존 손 잡았다, 아마존에서 애플 제품 구매 가능(머니투데이)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111113145531210
3. 애플, 일부 아이폰X 결함 인정 “무상 수리”(디지털데일리)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4677
4. 삼성전자, 첫 폴더블폰 LTE로 확정···내년 3월 국내 출시(전자)
http://www.etnews.com/20181109000378
5. 삼성 첫 폴더블폰 구성할 부품소재는?…공급망(SCM) 분석(전자)
http://www.etnews.com/20181109000263
반도체/디스플레이
1. 마이크론, 1y나노 모바일 D램 생산...D램 미세화 경쟁 가열(전자)
http://www.etnews.com/20181109000300
2. "美 수출제한…中 반도체 발전 지체될 듯"(메트로)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8111100073
3. "폴더블 디스플레이, 2025년에는 출하량 5000만대 넘어"(뉴스토마토)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57258
4. 내년 플렉시블 OLED 공급과잉 우려(전자)
http://www.etnews.com/20181109000375
인공지능/자율주행/전기차/신재생에너지
1. SK이노베이션, 폭스바겐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한다(전자)
http://www.etnews.com/20181111000054
2. LG화학 전기차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우지막코리아 경영권 인수 진행(비즈니스포스트)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02027
3. 5G, 화웨이 손잡은 LG유플러스(moneyS)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8103016278037691
감사합니다.
20181112
대신 법인 김현석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해외 증시 요약
1. 미국 증시
-지속적인 유가 하락이 글로벌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를 확대하며 3대 지수 공히 하락 마감. IT, 임의소비재, 통신서비스 등이 지수 하락 주도
-글로벌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미국 수출주와 자동차주들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캐터필라와 GM이 각각 3.4%와 2.4% 하락
-'만일 중국과 협상이 타결된다면 그것은 월가가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방식이 될 것'이라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국가무역위원회 위원장의 강경 발언도 투자심리 악화에 일조
-국제 유가는 원유 생산량 증가 부담으로 10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지난 1984년 7월 이후 최장 기간 하락
-외환 시장에서 달러화는 FRB의 점진적인 금리 인상 기조 유지에 강세
2. 유럽 증시
-연방준지 제도의 점진적인 금리 인상 기조 유지와 일부 대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투자 심리를 압박하며 하락 마감
-EU가 이탈리아 부채상황을 우려한다고 경고하면서 이탈리아 예산안을 둘러싼 불확실성도 고조되는 모습
#해외 증시 요약
_
* 주요 지수
다우존스: 25989.3 (-0.77%)
S&P500: 2781.01 (-0.92%)
나스닥: 7406.902 (-1.65%)
유로Stoxx: 3229.49 (-0.25%)
FTSE100: 7105.34 (-0.49%)
CAC40: 5106.75 (-0.48%)
DAX30: 11529.16 (0.02%)
닛케이225: 22250.25 (-1.05%)
상해종합: 2598.872 (-1.39%)
항셍: 25601.92 (-2.39%)
VIX: 17.36 (3.83%)
S&P 500 은행 인덱스: 326.8122 (-0.87%)
유로Stoxx 은행 인덱스: 99.17 (-1.27%)
닛케이 은행 인덱스: 178.8 (0.13%)
LIBOR-OIS 스프레드: 0.2791 (-0.50%)
_
* 환율
파운드달러: 1.29 (-1.09%)
아시아통화 인덱스: 103.89 (-0.29%)
달러인덱스: 96.91 (0.19%)
원달러: 1128.13 (-1.02%)
원엔: 9.91 (-1.04%)
원위안: 162.2 (-0.68%)
엔달러: 113.79 (0.25%)
달러유로: 1.13 (-0.36%)
위안달러: 6.96 (-0.32%)
_
* 상품
WTI: 60.19 (-0.79%)
현물 금: 1209.65 (-1.17%)
LME 3개월 구리: 6056 (-1.61%)
BDI: 1147 (-6.82%)
Bitcoin 선물: 6315 (-1.67%)
_
* 채권
미국10y: 3.182 (-5.540bp)
미국2y: 2.924 (-4.088bp)
독일10y: 0.4 (-5.01bp)
그리스10y: 4.34 (4.59bp)
스페인10y: 1.59 (-0.99bp)
이탈리아10y: 3.4 (0.69bp)
포르투갈10y: 1.94 (0.52bp)
SHIBOR 1w: 2.6 (-0.001)
중국 CDS 5y: 63.56 (0.469)
#VALUE!
브라질 CDS 5y: 200.65 (0.875)
_
* S&P500 섹터별
자유소비재: (-1.50%)
필수소비재: (0.51%)
에너지: (-0.37%)
금융: (-0.96%)
헬스케어: (-0.33%)
산업재: (-1.00%)
IT: (-1.66%)
커뮤니케이션: (-1.44%)
소재: (-1.37%)
_
* S&P500 Winners & Losers
-UP
몬스터 베버리지 (4.99%)
콜게이트-팜올리브 (4.76%)
NRG 에너지 (3.49%)
EQT (3.16%)
아파치 (2.94%)
-DOWN
PG&E (-16.49%)
액티비전 블리자드 (-12.39%)
에디슨 인터내셔널 (-12.12%)
센추리링크 (-10.29%)
스카이웍스 솔루션스 (-0.95%)
_
$$$ 미국 주요기업 등락
자동차/부품/타이어: GM (-2.38%), 포드 (-0.85%), 크라이슬러 (-2.05%), 테슬라 (-0.25%) / 보그워너 (-3.36%) / 굿이어 (-0.50%)
IT: 애플 (-1.93%), 마이크론 (-3.29%), 인텔 (-1.80%), 알파벳 (-1.61%), 페이스북 (-1.97%), 페이팔 (-2.56%), 아마존 (-2.42%), 넷플릭스 (-4.55%)
오일메이저/Shale/태양광: 엑슨모빌 (-1.03%), 셰브론 (0.13%) / EOG리소시스 (0.63%), 파이어니어 (2.11%) / 퍼스트솔라 (-1.05%)
헬스케어: 길리어드 (-0.97%), 암젠 (-1.46%), 바이오젠 (-0.26%), 앨러간 (-2.24%), 존슨&존슨 (0.03%), 일라이릴리 (1.92%), 스펙트럼 (4.83%)
중국기업: 알리바바 (-2.78%), 바이두 (-2.55%), JD닷컴 (-3.13%), 씨트립 (-6.31%), 넷이즈 (-4.10%), 웨이보 (-7.16%)
_
元元元 홍콩 주요기업 등락
자동차: BYD (0.85%), 브릴리언스 (-1.74%), 그레이트월 (-3.14%), BAIC (-0.23%)
통신/IT: 차이나모바일 (-2.61%), 차이나유니콤 (-2.77%), 차이나텔레콤 (-2.05%) / 텐센트 (-4.90%), 킹소프트 (-1.01%), 레노버 (4.50%), 하이얼 (-1.83%)
카지노/음식료: 갤럭시 (-3.05%), 샌즈차이나 (-2.76%), 윈마카오 (-5.28%) / 왕왕 (-2.98%), 멍니우 (-2.20%), 강사부 (0.97%)
__
은행/보험/증권: 공상은행 (-2.73%), 중국은행 (-2.62%), 건설은행 (-2.43%) / 핑안보험 (-1.97%), 중국생명 (-1.57%) / CITIC증권 (-3.52%), 하이통증권 (-4.31%)
#해외 증시 주요 뉴스
- 아멕스카드, 中 결제 시장 첫 진출…금융시장 개방 본격화 :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091208i
- 中 조선소 75% 선박수주 '0'…저가전략 한계 봉착 :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8110900531
- 5채 중 1채 빈집… '시한폭탄' 中부동산 :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8111115043272428&ca=economy
[대신 음식료 한유정] 음식료 Daily News
▶️뉴스
'분유 이물질 논란' 남양유업, “정밀검사 결과 분유이물질 혼입 불가 판단”
https://bit.ly/2yXFoRi
오뚜기 10년째 ‘진라면’ 가격 동결...득될까 독될까
https://bit.ly/2JTRZcF
롯데푸드 파스퇴르, 젓 뗀 아기 마시는 '위드맘 첫 우유' 출시
https://bit.ly/2JVuakw
CJ프레시웨이, '대사증후군 식사 가이드' 출간
https://bit.ly/2FguPhK
롯데푸드 파스퇴르, 식물성 DHA 위드맘 첫 우유 출시
https://bit.ly/2T1HmbN
▶️공시
<CJ프레시웨이>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
https://bit.ly/2T2XwBK
<동원산업>
최대주주등소유주식변동신고서
https://bit.ly/2Qz6IvS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https://bit.ly/2qAjsXY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대신 조선/기계 이동헌:
[대신 기계 이동헌]
2018년 11월 12일(월)
[방위산업]
1. LIG넥스원, 인도네시아에 유도무기 수출 추진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11091539307731dd9e5ceb62_1&md=20181109160103_K
[건설기계]
1. 두산인프라코어, 인도네시아 방산업체와 MOU 체결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11110065502803
2. 건설기계 ‘빅2’는 혁신 중…똑똑한 新기술 접목 박차
http://www.asiat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500
[플랜트]
1. 두산중공업, 노동생산성 1.36억원으로 후퇴
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47110
[전력기계]
1. LS그룹 '용산 시대'…3대 지주사 모두 '둥지'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1138311
2. 현대중공업지주 124억원 규모 현대일렉트릭 취득 결정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1/09/0200000000AKR20181109063200008.HTML?input=1195m
[운송기계]
1. '2018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 14일부터 경기도 킨텍스 개최
http://www.fnnews.com/news/201811110241056370
2. 현대로템, K2전차 1조 수출 나선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706649
* 위 내용은 보도된 뉴스의 단순요약입니다.
[SBS] 먼 동이 트는 이른 아침
*대신 통신/미디어 김회재*
https://goo.gl/GJbc93
0. Buy, TP 31천원
1. 방통위, “방송광고 제도 개선에 대한 정책방향” 발표.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추진.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18.11월중 입법예고 예정. 이르면 191Q 중 시행 가능. 46년만의 부활
2. 지상파 중간광고는 방송/광고시장 활성화라는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케이블과 종편 보호 위해 도입되지 않고 있었지만, 후발사업자 보호라는 명분 사라짐. tvN의 가파른 성장과 종편의 7년 만의 흑자 전환 감안시, 오히려 지상파에 대한 역차별
3.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시 종편과 케이블 광고 위축된다는 이분법적 사고는 옳지 않음. 제도적 비대칭의 해소일 뿐 경쟁력 있는 양질의 컨텐츠 만들어야 광고주의 호응 받을 수 있다는 점에는 변함 없음. 중간광고 도입 효과는 매출 +760억원, +10.3%
4. SBS의 5가지 긍정적 변화는 당사 이전 리포트 참조
https://goo.gl/Ccs5w6
1) 드라마 사업 독립
2) 중간광고 도입
3) 온라인 플랫폼 적극 활용
4) 중국 온라인 시장 개방 가능성
5) 향후 3년, 부담 없는 중계권료
#상기 내용 컴플라이언스 필#
[키움 음식료/박상준]
★ 키움 음식료 Weekly (11/12)
★ Weekly News & Comments
1) 11월 USDA 곡물 재고비율 점검
- 2018/2019F 재고비율: 옥수수 +12.8%p, 소맥 +0.9%p, 대두 +0.6%p
- 옥수수/소맥의 재고비율 상승은 예기치 못한 중국 국가 통계국의 과거 생산량 수정에 기인
- 대두는 중국의 단백질 소비 성장률 예상치가 하향되며 재고비율 상승
2)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은 ‘춘추전국시대’…해외?중소 브랜드 가세 (bit.ly/2T2Y8Y3)
3) '전자담배의 아이폰' 없어지나…美 FDA, 판매 제한 추진 (bit.ly/2z0LGja)
4) 국내시장 정상 노리는 진라면…해외시장에 사활 거는 신라면 (bit.ly/2Fkb4WS)
5) 당정 쌀 목표가격 19만6,000원 제시… 쌀값 영향은? (bit.ly/2T1IrQR)
6) ‘김포(김장포기)족’ 늘었다…담가 먹는 김치에서 사 먹는 김치로 (bit.ly/2ROiYJg)
★ Weekly Performance
1) 원/달러 +0.6%, 옥수수 -0.4%, 소맥 -1.3%, 대두 +0.0%, 원당 -5.3%
2) 중국 라이신 +0.0%, 메치오닌 -6.6%, 쓰레오닌 +0.0%, 트립토판 +0.0%
보고서: goo.gl/9CVgXT
감사합니다.
[문의: 키움 박상준 / 010-8960-2957]
[키움 음식료/박상준]
★ CJ프레시웨이(051500): 어려운 업황을 이겨내는 중
1) 3분기 영업이익 133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부합
- 신규 수주 호조, 급식 단가 인상으로 최저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단체급식 부문 OP 증가
- 식자재유통 부문과 송림푸드 OP는 감소
- 1) 영업일 수 감소와 외식 경기 둔화에 따른 매출 성장률 둔화, 2) 송림푸드 신제품 매출 지연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 때문
2) 식자재유통 매출 아쉽지만, 단체급식 수주 확대 긍정적
- 동사는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력 채용을 줄이고, 고정비 증가율을 낮출 계획
- 외식 시장 환경 감안시 매출 성장 모멘텀 회복엔 다소 시간 필요할 것으로 판단
- 다만, 단체급식 수주 확대는 긍정적: 올해 5월부터 컨세션 사업을 확대하면서, 공항/병원/휴게소 내 식음시설 수주 늘려나가는 추세
- 최저 임금 인상 이후, 경쟁사 대비 규모가 큰 동사의 원가 경쟁력이 빛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3)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만원 제시
- 단체급식의 성장성은 긍정적이나,
- 전방산업 환경 악화에 따른 식자재유통 매출 성장률 둔화를 감안하여 실적 추정치와 Target PER 하향
- 다만, 최근 수급 요인에 따른 주가 급락으로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확대된 점을 감안하여, 투자의견 BUY 유지
보고서: goo.gl/TUcy1N
감사합니다.
[문의: 키움 박상준 / 010-8960-2957]
◈ 11월 2주 철강금속 동향 (3일~9일)
◈ 철강
* 중국내수(VAT 포함) 열연 $573 (-3.3%. 8주 하락), 철근 $687 (-2.8%, 1주 하락), 철근선물 3,878위안 (-4.5%, 2주 하락)
* 철광석 $76.9 (+0.7%, 1주 상승), 강점탄 $223 (+2.5%, 1주 상승), 고철: 일본 내수 33,857엔 (-2.8%, 2주 하락)
* 철강사 주가 Arcelormittal -0.1%, 신일철 +3.2%, 바오산 -3.5%, US steel -1.0%
▶️ 중국 철강가격은 철근선물가격이 2주 연속 급락하며 부진한 가운데 열연 유통가격이 8주째 하락세를 이어갔고 상승하던 철근도 5주만에 하락반전해 분위기가 냉각됨
▶️ 반면, 철광석과 강점탄/코크스 등 원재료가격은 올해 연고점 수준을 회복하며 강세를 보여 중국 spot 열연마진은 2017년 6월이후 최저치를 기록
▶️ 4월 중순이후 약세였던 중국 흑연 전극봉가격이 약 7개월만에 반등
▶️ 미국 연방법원이 송유관 건설사업인 키스톤 프로젝트의 건설 중단 판결
▶️ 10월 중국 철강 수출량 550만톤 (-8% MoM, +10% YoY)으로 올해 3번째로 낮은 수준. 10월 누계 수출량은 5,841만톤 (-9% YoY)
▶️ 10월 중국 철광석 수입량 8,840만톤 (-5% MoM, +11% YoY)으로 4개월래 최저. 10월 누계 수입량은 8.92억톤 (-1% YoY)으로 8년만에 YoY 감소 기록 중
◈ 비철/귀금속
* LME 구리 $6,056 (-3.6%, 1주 하락), 아연 $2,523 (-1.2%, 2주 하락), 연 $1,977 (-0.7%, 2주 하락), 니켈 $11,470 (-3.9%, 1주 하락)
* 금 $1,210 (-1.9%, 1주 하락), 은 $14.2 (-4.0%, 1주 하락)
* peer 주가: Alcoa -7.0%, Nyrstar -21.3%, Glencore -5.0%, ZhuZhou Smelter +8.3%
* 중국 spot 아연 TC $140 (2주 보합)
▶️ 주간 비철은 무역전쟁 우려 지속과 달러강세에 구리/니켈을 중심으로 하락. 귀금속도 달러강세에 은 중심으로 하락
▶️ 금요일 메탈가격은 전일대비 구리 -1.6%, 아연 +0.0%, 연 -1.4%, 니켈 -2.6%, 금 -1.2%, 은 -2.0%
▶️ LME 아연재고가 12주 연속 감소하며 2008년 5월이후 최저치 기록. SHFE와 LME 합산 아연재고는 17.0만톤으로 2008년 2월이후 최저치를 기록해 타이트한 현물 수급을 보여줌
▶️ Nyrstar 주가, Citi 증권의 목표주가 철회 보고서와 환경문제로 인한 12월 호주 연제련소의 부분가동 중단소식에 한주간 -21% 급락하며 신저점 경신. 9/21이후 -72% 급락
위클리보고서 링크: https://goo.gl/UJe2Nh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키움 스몰캡/김상표] 스몰캡 Weekly 코멘트: 코스닥 시총 상위 기업 순위 변화에 주목
(11월 2주차) 시총 1조 클럽 복귀를 노리는 코스닥 대표 IT기업들의 반격 시점 도래
★업종별 엇갈린 수급 변화 지속 여부에 관심 / IT 및 게임업종에 대한 센티멘트 개선에 관심 필요
>> 지난 주 코스닥시장은 미국 중간선거, FOMC 회의 등 주요 대외 이슈들의 결과가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음에도 불구하고 기관투자자의 대규모 순매도로 인해 주간수익률 -0.49%로 하락 마감
>> 주 후반 기관 및 외국인투자자의 업종별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시가총액 상위 바이오/제약 업종 중심의 매도세와
단기 낙폭이 과대했던 IT/게임/엔터/미디어 업종에 대한 매수세 강화로 요약
보고서 링크: https://goo.gl/tdgWiA
[키움증권] 대충늬우스(11월 12일 아침)
투자전략팀 서상영(02-3787-5241)
이번 주에는 연말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할 주요 일정이 몰려 있음. 관련된 내용에 대해 주말 동안 변화한 점은 다음과 같음
[미-중 무역분쟁]
29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주말 동안 외교, 안보와 관련된 대화를 했음. 남중국해 및 이란 제재 문제는 양국 합의가 쉽지 않은 모습. 무역분쟁과 관련 해서는 미국은 대미 무역흑자 축소 및 지적 재산권 보호 방안을 요구. 중국은 협상을 통해 타결을 봐야 한다고 주장. 대체로 29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은 협상에는 합의를 보았으나, 방법에서의 차이가 뚜렷하다는 점을 감안 타결이 쉽지 않음. 다만, 이번 주에는 실무 협상이 지속된다는 점에서 관련 이슈 주목
[국제유가]
11일 OPEC과 비OPEC 장관급 회담이 개최. 해외 언론은 "사우디가 하루 100만 배럴 감산하는 안을 논의 할 것" 이라고 보도. 이를 감안 12월 6일 OPEC 정례회의에서 감산 합의 기대감이 높아 이번주 국제유가의 반등 가능성이 높음. 한편, 13일과 14일 OPEC과 IEA의 월간 보고서 발표 주목.
[달러화 및 국채금리]
14일 미 증시 마감 후 파월 연준 의장은 카플란 총재과 함께 미국과 글로벌 경제 문제에 대한 발언이 준비되어 있음. 이 발언에 따라 달러화 및 국채금리 변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주목.
[글로벌 경기 둔화]
5일 OECD는 경기 선행지수를 통해 글로벌 경기가 유럽국가 위주로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 반면, 미국은 기준선 위로 다시 올라섰으며, 중국은 4개월 연속 상승 추세를 이루고 있음.
[이탈리아 예산안]
13일은 EU가 이탈리아 정부에 제시한 2019년 예산 수정안 제출 마감 일. 이탈리아 정부는 수정할 수 없다고 주장 했으며, 지난주 EU 집행위는 협상은 없다고 언급. 한편, 13일까지 수정안이 제시 안되면 17일 EU 긴급 정상회담에서 정상들은 이탈리아에 대해 벌금을 비롯한 제재 논의 가능성이 있어 주목. 관련 이슈는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듯
[영국 브렉시트]
이번 주 초반에 17일 EU 정상회담을 앞두고 브렉시트 협상 초안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다만, 여전히 어업권, 안전장치 종료 등의 문제는 남아 있으나, 중요한 이슈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 타결 기대감이 높음.
*컴플라이언스 검 필
[키움/전기전자 김지산]
전기전자 Daily News (18.11.12)
1. 국내뉴스
▶️삼성 첫 폴더블폰 구성할 부품소재는?…공급망(SCM) 분석 (전자신문)
- 디스플레이, 터치입력: SDC, PI: 스미토모화학, OCAA: 삼성SDI, PI바니시:에스유머티리얼즈
- 편광필름: 닛또덴코, 힌지: KH바텍, M8 재료세트: SFC, 신일철화학, 덕산네오룩스 등
- https://bit.ly/2zJRhKa
▶️내년 플렉시블 OLED 공급과잉 우려 (전자신문)
- 플렉시블 OLED 수요 정체기 인데 내년에 새롭게 가동하는 팹 줄줄이 대기(중국 에버디스플레이,차이나스타,JOLED 등)
- https://bit.ly/2z5FmqN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 사장 "삼성 폴더블폰 내년 상반기 출격…첫 생산량 100만대 이상" (한국경제)
- 디스플레이 먼저 선보인 이유? 상용화 준비 마쳤다는 뜻, 구글과 TF 만들어 협력…최적화된 운영체제·UI 갖출 것
- 갤럭시S·갤럭시노트처럼 매년 신제품 출시할 계획
- https://bit.ly/2zd9hgP
▶️"갤럭시S10, 노치 대신 피어싱 디스플레이 탑재" (아시아경제)
- SDC에서 '인피니티O' 공개, 중저가 라인업에서는 결국 노치 받아들일 듯. '인피니티 U·V' 전면 카메라 위해 움푹 파여
- https://bit.ly/2zHF9cJ
▶️'2019 CES 혁신상'…삼성·LG전자가 휩쓸다 (한국경제)
- 삼성, 내년 출시 예정인 TV와 모니터 부문에서 최고혁신상 2개 수상. LG, V40씽큐와 LG사운드바가 최고 혁신상 받아
- https://bit.ly/2OFYBfo
2. 해외뉴스
▶️화웨이도 피어싱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 취득 (PhoneArena)
- 2018년은 노치의 시대였지만, 2019년엔 디스플레이 cut-out이 트렌드일 수 있어
- 삼성, 갤럭시 S10에서 새로운 인피니티0 디스플레이 채택 예상, 화웨이는 3월에 P30시리즈 통해 유사한 디자인 채택 전망
- https://bit.ly/2FkrLkL
▶️다이슨, 헤드폰처럼 쓸 수 있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개발 중 (Engadget)
- 공기오염이 심한 아시아 지역 타깃, 주요 기능은 공기정화지만 헤드폰 기능도 추가될 수 있어
- https://engt.co/2FiwHqm
▶️폭스바겐, 테슬라 겨냥 엔트리 레벨 전기차 출시 검토 (Livemint)
- 2020년 이후 2만유로 이하 가격으로 연간 약 20만대 판매 검토
- https://bit.ly/2qDEd4Z
안녕하세요. 리서치알음 수석연구원 최성환 입니다.
中 광군제, 알리바바 매출 34.7조원(+23%, YoY) 달성
→재평가 임박한 PG사업자에 주목
매년 거래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광군제의 이면에는 ‘간편결제’가 자리하고 있다. 국내 온라인쇼핑 시장도 모바일 간편결제가 활성화되면서 연평균 25% 가량의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당 리서치센터에서는 국내외 온라인쇼핑 시장과 함께 동반성장을 진행 중인 전자결제대행(PG) 사업자에 주목한다.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등 간편결제 사업자의 등장은 이미 수십만의 가맹점을 확보하고 있는 PG 사업자들에게 추가 성장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 지속적인 실적개선에도 불구하고 국내 PG업체 주가는 내리막길, PG산업 성장정체 우려는 기우에 불과
① 전자결제 산업의 생태계상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등 간편결제 사업자와 PG사업자는 경쟁관계가 아니라 공생관계
- 간편결제 사업자들은 이미 수십만의 가맹점을 확보하고 있는 PG사업자와 제휴를 맺기 위해 적극적
- 네이버 오픈마켓이 독자적인 PG업무를 시작했지만 온라인 가맹점주들은 고객DB 구축 이점 및 수수료 부담이 적은 PG를 선호
②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정책 중 하나인 ‘제로페이’ 서비스 출시가 임박해지면서 PG사업자의 수익성 악화 우려 제기
- ‘제로페이’ 수수료 절감 가능하지만 무이자 할부, 포인트 적립 등 소비자 혜택 측면에서는 신용카드가 유리해 활성화에 의문
- ‘제로페이’ 카드사 참여하지 않아 신용공여 기능 없다는 치명적 약점, 서비스 초기에는 체크카드 대체 역할만 가능
③ PG사업자 재평가 필요, PG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KG이니시스>, <NHN한국사이버결제>에 주목
- KG이니시스(035600, KQ) : 국내 PG 업계의 거대 공룡으로 성장, 지난해 적자 사업부 매각으로 수익성 개선 진행 중
- NHN한국사이버결제(060250, KQ) : 모회사 PAYCO 거래금액 증가로 수혜, NHN 계열 업체로 사업 시너지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