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1. 2. 금요일
[SK시황 하인환] 긴급 점검, 트럼프는 중간선거에서 이기고 싶다
SK증권 Market Analyst 하인환
02-3773-8887
보고서 링크 : http://bit.ly/2SC4fSR
오늘 마감시황은 본 자료로 대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1월 2일(금요일) 국내 증시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10/30일~11/1일의 반등은 코스피 +1.4%, 코스닥 +4.4%에 그쳤으나, 오늘은 코스피가 +3%, 코스닥은 +4% 내외의 상승폭을 기록 중이다.
지난 주까지만 하더라도 악재로만 가득했던 주식시장 환경이 이제는 호재들로 채워지고 있다.
10월 한 달 동안 상승 모멘텀을 찾고자 노력했으나 찾지 못했던 것이 이제는 왜 이렇게 쉽게 찾아지는 것일까?
문제는 역시 ‘트럼프’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한 마디에 글로벌 증시가 휘청거리고 있다. 무역분쟁이라는 것 자체가 정치적 이벤트인 데다가, ‘트럼프 대통령’이라는 예측할 수 없는 인물의 특성까지 더해져 현 상황에 대해서는 단기 전망 자체가 무의미한 상황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이 한 가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간선거에서 이기고 싶으며, 이기기 위해 주식시장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간선거 발표가 있을 7일(한국시간)까지는 추가적인 호재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그 이후에는 방향성을 예단하기가 매우 힘든 상황이다.
중간선거를 전후로 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담당자의 결재가 완료된 것입니다
SK Morning Call 2018.11.02(금)
▶️ Market Comment
미국 증시
ㆍ 트럼프-시진핑 통화에 무역협상 기대감 생기면서 3대 지수 상승 마감
ㆍ 트럼프-시진핑, 약 6개월여만에 통화, 미·중 무역협력과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 교환
ㆍ 10월 제조업 활동 지수 예상치 하회, 실업보험청구자수는 예상치 상회, 유가는 급락해 $63.7
유럽 증시
ㆍ 브렉시트 앞두고 유로화와 파운드의 강세에 증시 상승 제한 모습
ㆍ 영국과 EU의 협상대표단이 잠정적인 합의 도달했다는 소식, 영국 은행주는 일제히 랠리
ㆍ 영란은행 기준금리 동결, '향후 경제 전망이 무역협상, 가계와 기업, 금융시장 반응에 달려'
일본 증시
ㆍ 최대 40% 요금인하 예정인 통신주 급락에 지수 반락 마감
ㆍ 휴대전화 최대업체 NTT Docomo의 요금 인하로 수익악화 우려가 나온 통신주가 급락
ㆍ NTT Docomo -15%, KDDI -16%, Softbank -8% 등 통신주 대거 하락
중화권 증시
ㆍ 전일 정치국회의에서의 나온 당국 경기부양 기대감에 상승 마감
ㆍ 고용, 금융, 대외무역, 투자 안정과 적극적 재정금융정책을 금융당국이 약속
ㆍ 인민은행, '농촌 금융기관 지준율 낮게 유지', 증권 당국, '담보주식 문제 돕는 증권사에 인센티브'
국내 증시
ㆍ 3분기 실적 부진에 장마감 직전 기관 매도세로 코스피 하락 반전 마감
ㆍ 기업 실적이 예상보다 안 좋게 나오면서 상승세를 끝까지 유지하지 못하고 하락
ㆍ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대규모 자사주매입 결정 소식에 강세, 의약품업 상승 견인
▶️ Global News Clip
ㆍ Apple, 연간 실적에 중요한 크리스마스 분기에 예상치 하회 가이던스 제시, 시간외서 -6.62%
ㆍ Alphabet(Google), 수천명의 Google 직원들이 성희롱 관련 시위 진행, 주가 -0.42% 하락
ㆍ Kraft Heinz, 전년비 매출은 증가, 영업이익 크게 감소, 시장 예상치도 하회, 시간외서 -7.65%
ㆍ DowDuPont, 새로운 $3bn 규모 자사주 매입안 내놔, 주가 +8.13% 상승
ㆍ NTT Docomo/KDDI, 일본 정부 압박에 NTT Docomo 통신비 인하 계획 발표, -10% 이상↓
ㆍ Amazon, Black Friday를 맞이해 특가 온라인 스토어 런칭, 주가 +4.23% 상승
PDF보기: https://bit.ly/2qnNVIw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스몰캡]
▶️ 오늘의 Check Point!!! 2018.11.02(금)
▶️ 트럼프의 말말말? 손손손!!!
ㆍ 평소 트위터로 메시지 전달을 즐기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
ㆍ 중국 시진핑 주석과의 전화 통화 사실 트윗, 무역전쟁 해소 기대감 높아져
ㆍ 무역/북한 관련 문제에 대한 좋은 대화, 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사전 조율 성격 강한 것으로 예상
▶️ 11월의 첫 거래일 무난한 시작, 변동성 줄어들까
ㆍ 혼돈의 10월이 지나고 맞이한 11월의 첫 거래일, 코스피 소폭 하락했지만 코스닥 1% 넘게 반등
ㆍ 10월 말 기준으로 신용융자 잔액 10조원 무너져, 연중 최저치 기록
ㆍ 미중 분쟁/실적 우려 등 악재 털어내고 반등 기대 높아, 높은 배당수익률 관심 가질만
▶️ 대한민국 경제 투톱, 전면 교체?
ㆍ 청와대에서는 다시 부인했지만, 김동연 경제부총리/장하성 정책실장 동반 교체에 힘 실려
ㆍ 언론사 취재에 따르면 후임자 선정을 위한 인사 검증 들어간 것으로 파악
ㆍ 하지만 교체되더라도 현 정부 경제정책 기조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제약/바이오 이달미]
Daily News Clip_2018.11.02 (금)
▶️금감원,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혐의 결정적 증거 확보
URL: https://goo.gl/LTywHu
▶️애브비, 휴미라 가격 80% 낮춰 유럽시장 바이오시밀러 방어
URL: https://goo.gl/nrPHQH
▶️동아에스티, 탈모·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두타반플러스정 발매
URL: https://goo.gl/ze5drR
▶️EDGC, 세계 2위 유전체기업 BGI 자회사 GBI와 합작법인 최종 승인
URL: https://goo.gl/RGmTX2
▶️엘앤케이바이오, 3분기 영업익 37억원 146.1%↑ 순이익 ‘흑자전환’
URL: https://goo.gl/mtmd6S
▶️대웅제약, 3분기 누계 매출액 6861억원
URL: https://goo.gl/dYtZhN
▶️부광약품, 시린이 기능성 치약 캐나다 시장 진출
URL: https://goo.gl/CXk28H
▶️셀트리온과 관계사, 2000억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URL: https://goo.gl/Rv3Bev
▶️바이넥스, 중국 즈언제약과 바이오시밀러 기술이전계약 체결
URL: https://goo.gl/YNcqqY
▶️바이오 진출 OCI "국내외 유망 벤처 전략적 투자 "
URL: https://goo.gl/5ef21k
▶️'어닝 서프라이즈' 한독, 4년만에 영업익 100억 회복
URL: https://goo.gl/aJiitN
▶️ARB 파장 확산...미국서도 '이르베사르탄' 불순물 검출
URL: https://goo.gl/56Y63K
▶️제약업계 겨냥 사정당국 리베이트 조사 임박設…이번엔 어느 업체?
URL: https://goo.gl/rSh3uL
▶️제약사 3분기 실적 갈려, 상위사 '저조' vs 중견사 '호조'
URL: https://goo.gl/Cp8awP
▶️'C형간염약 부진' 길리어드의 돌파구...'항암신약 확보'
URL: https://goo.gl/om2Mj8
▶️'임상정보 전부공개' 현실화...제약, 고강도 압박에 긴장
URL: https://goo.gl/9z2b8n
------------------------------------------
[SK시황 하인환] 반등, 의문, 그리고 고민
SK증권 Market Analyst 하인환
보고서 링크 : http://bit.ly/2RxhxyR
10월 중 급락세를 보였던 글로벌 증시가 10/30일부터 일제히 반등했다.
가팔랐던 하락 탓에 오랜 만에 나타난 반등이 반갑기 그지없다.
그런데 최근 국내 증시의 반등을 보면서 3가지 의문이 들었다.
1) 하락 폭에 비해 반등 폭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코스피는 20영업일간 -15% 하락했는데, 최근 3일간의 반등폭은 1.4%에 그쳤다.
2) 반등의 지속여부에 대한 의문이다. 특히 11월 1일 흐름이 주목할 만하다. 코스피는 장중 1%, 코스닥은 3%까지 급등했으나, 오후부터 상승폭을 반납해 코스피는 하락 마감, 코스닥은 1.36% 상승에 그쳤다.
3) 글로벌 증시 대비 성과가 부진하다. 이번 주 한 주간 상승률을 비교해보면 MSCI 선진국 지수는 2.0%, 신흥국 지수는 1.7% 상승했고, 주요국 증시는 대부분 상승했다. 하지만 국내 증시만 하락했다.
글로벌 증시를 따라서 상승할 순 있겠으나, 그 폭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한다
최근의 반등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면, 이제 남은 것은 향후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다.
그런데 지금의 주식시장은 ‘정치 이벤트’가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정치 이벤트는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다. 가장 가깝고 중요한 이벤트는 단연 미국 중간선거다.
SK증권은 여론조사 결과에 기대 민주당이 이길 가능성만 생각하기 보단, 16년 대선 때처럼 공화당이 이길 가능성도 점검해 보았다.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담당자의 결재가 완료된 것입니다
[SK퀀트 김경훈] SK Quant Daily 11/2
① SK퀀트가 보는 주식시장
◈전일 특징주◈
▷ 대표 상승종목
- 애경산업(+12%): 3분기 호실적 달성과 4분기 사상 최대 실적 전망에 급등세
- 삼성전기(+11%): 기대 이상의 MLCC 사업 마진율 기록하며 3분기 호실적에 강세
- 메지온(+10%): 유데나필의 가치가 최소 8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증권사 분석에 상승
▷ 대표 하락종목
- 삼성중공업(-9%): 3분기 어닝쇼크에 약세
- 현대미포조선(-7%): 3분기 부진한 실적을 내놓자 약세
- 현대중공업(-7%): 3분기 흑자전환은 일시적이며 4분기 다시 적자전환할 것이란 증권사 추정
◈전일 수급 상위주◈
▷ 공매도 비율 TOP 3
휴켐스(38%) > 아모레G(28%) > BGF리테일(27%)
▷ 기관 순매수 비율 TOP 3
한국토지신탁(48%) > 대한항공(43%) > 진에어(41%)
▷ 외국인 순매수 비율 TOP 3
BGF리테일(50%) > GS리테일(45%) > 리노공업(43%)
◈「이익 vs 주가」 국면 분석◈
▷ 시장
- 3분면 하락국면[대세하락]: KOSPI, KOSDAQ
▷ 규모
- 3분면 하락국면[대세하락]: 대형주, 소형주
- 4분면 회복국면[매수]: 중형주(시계 HOLD)
▷ 업종
- 1분면 상승국면[대세상승]: 통신, 에너지, 금융
- 2분면 쇠퇴국면[매도]: 유틸리티, IT
- 4분면 회복국면[매수]: 소재(시계 HOLD), 건강관리(시계 HOLD),경기관련소비재(시계HOLD)
▷ 리비젼 주도섹터 TOP 3
- 상향: 통신 > 에너지 > 금융
- 하향: 유틸리티 > IT > 소재
▷ 섹터 리비젼 주도주 TOP 3
- 상향: JYP Ent. > 삼성바이오로직스 > 쌍용양회
- 하향: 대한유화 > 삼성전자 > 에이치엘비
② 3Q18 Earnings Calendar
◈ KOSPI 실적시즌 현황◈
▷ 시장 성장률: 17% // 공시 진행률: 66%
◈전일(11/1) 실적발표 대표종목 (총 19개)◈
▷ 롯데케미칼: 쇼크 OP 5,036억원 (-34% YoY, -28% QoQ)
▷ LG유플러스: 부합 OP 2,281억원 (+7% YoY, +8% QoQ)
▷ GS리테일: 부합 OP 776억원 (+40% YoY, +39% QoQ)
◈금일(11/2) 실적발표 대표종목 (총 17개)◈
▷ [확정일] SK이노베이션: OP 7,907억원 (-18% YoY, -7% QoQ)
▷ [확정일] KT: OP 3,546억원 (-6% YoY, -11% QoQ)
▷ [확정일] 금호석유: OP 1,363억원 (+136% YoY, -11% QoQ)
(원본 링크 ☞ https://bit.ly/2Jx75EO)
[SK증권 스몰캡]
증시 오전동향 (10시 25분 기준)
코스피 [2071.93] (+2.34%)
코스닥 [676.99] (+2.97%)
USDKRW [1,126.80] (-0.55%)
무역분쟁 완화 기대
▶️증권 강세
- 증시 시각 긍정적
- 원달러 환율 하락
NH투자증권 (+8.54%)
한국금융지주 (+5.37%)
키움증권 (+5.26%)
미래에셋대우 (+5.12%)
SK증권 (+4.62%)
삼성증권 (+4.53%)
한화투자증권 (+4.40%)
유진투자증권 (+4.05%)
▶️항공사 강세
- WTI 4일간 하락
11월 1일 (-2.48%)
10월 31일 (-1.31%)
10월 30일 (-1.28%)
10월 29일 (-0.81%)
제주항공(+7.58%)
티웨이홀딩스(+6.22%)
한진칼(+6.15%)
대한항공(+5.35%)
진에어(+5.22%)
티웨이항공(+3.87%)
아시아나항공(+3.82%)
예림당 (+3.30%)
[SK증권 제약/바이오 이달미]
Global News Clip
2018.11.02(금)
▶️테바의 매출액은 4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EPS는 0.68 달러로 예상치인 0.55 달러를 상회함. Copaxone은 제네릭 경쟁 심화로 인해 점유율이 낮아지고 있어 우려가 제기됨. Ajovy가 Copaxone에 대한 매출 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는지 의문이 제기됨. CEO는 Ajovy가 다른 경쟁 의약품에 비해 복용 횟수가 적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주장함
URL: https://goo.gl/nfkueh
▶️United Healthcare는 HIV 환자 대상으로 의사와 상담을 통해 약가가 더 낮은 제품을 선택하게 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결정함. 새로 제시된 프로그램에 의해 머크와 GSK가 우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길리어드 HIV 사업부문에 우려가 제기됨. 한편 길리어드의 C형 간염 사업부문이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음
URL: https://goo.gl/TbY649
▶️화이자가 여성건강 사업부문을 매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됨. 매각 규모는 20억 달러로 추정되며 화이자는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았음. 여성건강 사업부문 매각을 통해 성장성이 더 높은 파이프라인에 집중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판단됨
URL: https://goo.gl/FTpVHg
▶️노보노디스크는 임직원 구조조정을 1300명까지 늘리기로 결정함. 2018년 말까지 구조조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됨. 주요 제품인 Victoza와 Ozempic이 매출 성장에 기인함. 3분기 순이익은 전년대비 8% 감소해 애널리스트 추정치를 하회함. 경쟁사인 일라이릴리의 GIP와 GLP-1 치료제 데이터가 최근에 발표되면서 노보노디스크의 향후 실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됨
URL: https://goo.gl/w4ZuhC
▶️머크의 RotaTeq이 공급 부족 사태를 겪고 있음. 따라서 아프리카에 큰 폭의 할인율로 제공했던 RotaTeq을 줄이고 4월에 허가 받은 중국시장에 공급할 예정임. 아프리카 환자 중 일부 처방을 받지 못해 다른 대체제를 찾아야될 것으로 예상됨. 한편 GSK가 아프리카 Gavi의 로타바이러스 백신 90%를 공급하고 있으나 수요에 맞추지 못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음
URL: https://goo.gl/LPLiq9
▶️애브비 Venclexta와 로슈의 Gazyva의 병용요법이 만성림프구백혈병 환자 대상으로 기존 요법 보다 질병의 악화 및 사망률을 줄이는데 성공함. 향후 로슈와 애브비는 병용요법 데이터를 각국 의료기관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됨.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Venclexta의 2022년 매출액은 30억 달러로 예상됨
URL: https://goo.gl/e5xSbk
[SK시황 하인환] 긴급 점검, 트럼프는 중간선거에서 이기고 싶다
SK증권 Market Analyst 하인환
02-3773-8887
보고서 링크 : http://bit.ly/2SC4fSR
오늘 마감시황은 본 자료로 대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1월 2일(금요일) 국내 증시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10/30일~11/1일의 반등은 코스피 +1.4%, 코스닥 +4.4%에 그쳤으나, 오늘은 코스피가 +3%, 코스닥은 +4% 내외의 상승폭을 기록 중이다.
지난 주까지만 하더라도 악재로만 가득했던 주식시장 환경이 이제는 호재들로 채워지고 있다.
10월 한 달 동안 상승 모멘텀을 찾고자 노력했으나 찾지 못했던 것이 이제는 왜 이렇게 쉽게 찾아지는 것일까?
문제는 역시 ‘트럼프’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한 마디에 글로벌 증시가 휘청거리고 있다. 무역분쟁이라는 것 자체가 정치적 이벤트인 데다가, ‘트럼프 대통령’이라는 예측할 수 없는 인물의 특성까지 더해져 현 상황에 대해서는 단기 전망 자체가 무의미한 상황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이 한 가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간선거에서 이기고 싶으며, 이기기 위해 주식시장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간선거 발표가 있을 7일(한국시간)까지는 추가적인 호재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그 이후에는 방향성을 예단하기가 매우 힘든 상황이다.
중간선거를 전후로 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