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投資/證券.不動産

◐[2023/ 9/ 15/ 금요일] 이제 남은 이슈는 FOMC

 

♣️ 證市 動向  
     美國 

        ◈ 騰落率 :  Dow +0.96%,    S&P500  +0.84%,    Nasdaq +0.81
%
          ▷ 整理 ; ECB 긴축인상 사이클 종료 기대감+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매판매,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호조+ ARM 급등에 따른 기술주 주도 가능성에 상승 마감.

    韓國     
        ◈ 騰落率 : KOSPI  +1.51%,   KOSDAQ  +1.90% 

          ▷ 展望 :  지난 밤 美 경제지표들이 상당히 우호적으로 발표되었음에도 시장이 긴축 우려 보다는 경기호조에 촛점을 맞추면서 상승 마감했습니다. 물론 9월말 PCE를 통한 11월 또는 12월 금리인상 논쟁이 있을 수 있겠지만 11월 기준금리 인상이 마지막 인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8月美 CPI지수 세부항목에서 쉘터 가격이 꺾인 것이 확인되었고(쉘터 가격은 방향이 결정될 경우 지속 경향이 있음) 유가는 일시적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장기화 가능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또한 4분기 중 美 소비도 한풀 꺾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국내증시로 돌아가보죠. 9월 선물옵션 만기 영향에 시장이 강하게 상승했습니다만 만기일 영향이라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려우나 시장 전체 업종이나 추세적 패턴으로 봤을 때 나쁘지 않은 흐름입니다. 기술적 분석상으로도 아직은 저항대에 위치해 있다는 점도 상승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점진적 상승추세로의 회복에 무게를 둡니다.

금일은 9월 만기 후 폭풍+ WTI 상승 부담+ 美국채 10년물 금리상승 등은 시장의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보합권전후의 움직임이 이어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 KOSPI, 2023년 외국인 순매수 최고금액 : 6/16 코스피 14조0,631억원
       - 코스피 +9조2,452억원(-5,160
억원)/ 코스닥 +1,804억원(+1,482억원) 
       - 외국인 선물 누적 순매도 -31,567계약(+12,406계약)
   ○ 美국채 10년물 금리 4.284%
       - 달러인덱스 105.35pt
   ○ 전일 원달러 환율, 1,325.70원
       - 역외환율 1,328.07원
   ○ 美 FOMC (9/19~ 20) 
       - 9월 FOMC 기준금리 동결, 11월 혹은 12월 기준금리 인상론 부각
       - FED Watch 기준금리 동결 9월 96.0%/ 11월 59.2%(인상 40.7%)
   ○ APEC 정상회의(11/12)  
   ○ WTI  $90.58()/ 두바이유 $ 93.70()
        - IEA "OPEC+ 감산에 4분기까지 공급부족 지속" 전망
   ○ 美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5주 연속 감소...213K
        -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전망 9월 -9.9로 전월 6.2에서 크게 악화
    스왑시장 트레이더들은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 시기 내년 9월에서 1월말로 전망.
    韓증권사 부동산PF '살얼음판'…연체율 17% 돌파
    美소형은행 신용카드 연체율 7.5% 돌파 (2001년 6.5%, 2008년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