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4/화요일] 반등시도 속 불안한 추세
♣️ 證市 動向
○ 美國
◈ 騰落率 : Dow +0.03%, S&P500 +0.12%, Nasdaq +0.21%
▷ 整理 ; 독립기념일 앞두고 거래량 소강상태 리비안과 테슬러가 주도하며 소폭 상승마감.
○ 韓國
◈ 騰落率 : KOSPI +1.49%, KOSDAQ +2.42%
▷ 市場 注目 變數 ;
① 코스피, 외국인 선물환 매수 영향 및 기관 순매수로 수급선을 비롯한 단기 이평선까지 모두 회복
② 코스닥, 에코프로 숏커버링 및 FTSE 환경지수 편입 (3,200억원) 효과로 단기 이평선 모두 회복
③ 월가, 美 경기침체 없을 것으로 전망 변경.
④ 美, 中과 관계개선 시도...韓 긍정적. 단, 정치적 이슈로 수혜는 장시간 필요
▷ 展望 : 전일 국내시장은 정말 대단한 반전이었습니다. 90일 이평선까지 물러난 상태에서 단번에 모든 단기 이평선을 회복했기 때문입니다. 코스피의 경우는 외국인이 선물 누적 35,000계약 이상의 순매도에서 8,000계약 환매수가 들어오는 한편, 기관의 강한 매수세로 상승했습니다. 코스닥의 경우 테슬러효과로 2차전지 기대감 속 에코프로 숏커버링과 FTSE 환경지수 편입에 따른 자금 집행이 이루어지면서 이 종목으로만 3,200억원 순매수가 이어졌고, 코스닥지수 전체로는 4,700억원 정도가 유입되었습니다.
여기다 미국 경기침체는 없을 것이라는 월가의 전망 그리고 미국이 중국과 관계개선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는 부분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다만, 코스피나 코스닥 모두 전고점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강한 수급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축의 하나인 외국인 수급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7월은 FOMC, 하절기 휴가철 등을 고려하면 기대감만 있을뿐 숨고르기가 필요해 보입니다. 7월은 가두리 장세가 더 가까운듯 싶습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 KOSPI, 2023년 외국인 순매수 최고금액 : 6/16 코스피 14조0,631억원
- 코스피 +12조3,049억원(-133억원)/ 코스닥 -1조7,933억원(+4,726억원)
○ Fed, 7月기준금리 인상에 무게... FOMC 7/25(화)~ 26(수)
○ ECB총재, 7월 기준금리 인상예고...연속 인상
○ 전일 원달러 환율 1,308.00원 -9.70원
○ 美 독립기념일로 7/3 조기폐장, 7/4 휴장
○ 美 주요일정
- 7/5 6월 FOMC 의사록 공개, 5월 공장재수주, 경기낙관지수
- 7/6 5월무역수지, 6월 ADP고용보고서, 6월 ISM 비제조업PMI
- 7/7 6월 비농업 부문 신규고용. 실업률, 6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美, 中과 관계 개선 시도
- 옐런 미 재무장관, 오는 6~9일 중 방문, 中새지도부와 채널 구축 예정
- 지난 18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에 이어 옐런 미 재무장관까지 中 방문하며 해빙모드
- 바이든의 시진핑 독재자 발언 및 中, 반도체 재료 갈륨·게르마늄 수출 통제 예정은 협상을 위한 액션
○ 코스피, 상장사 60% 실적 개선 추정
○ 월가, 美 경기침체 없을 것 vs 美 ISM 제조업 PMI 46.0…8개월 연속 위축세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7/ 6/ 목요일] 갈필을 잡지 못하는 투심 (0) | 2023.07.05 |
---|---|
◐[2023/ 7/ 5/ 수요일] 이미 방향은 정해져.... (0) | 2023.07.04 |
◐[2023/ 7/ 3/월요일] 美 물가 하락 확인 그러나 FED 예상 범위內 (0) | 2023.06.30 |
◐[2023/ 6/ 30/금요일] 상승 반전은 희망, 하락은 현실 (0) | 2023.06.29 |
◐[2023/ 6/ 29/목요일] 추세붕괴...하방경직성은 어디서?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