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23/금요일] 어느새 환율이 1,290원대 중반까지
♣️ 證市 動向
○ 美國
◈ 騰落率 : Dow -0.01%, S&P500 +0.37%, Nasdaq +0.95%
▷ 整理 ; 영란은행 빅스텝 금리인상 + Fed 관계자들의 매파적 발언 불구,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증가+ 아마존 이슈에 낙폭 축소하며 혼조마감.
○ 韓國
◈ 騰落率 : KOSPI +0.43%, KOSDAQ +0.08%
▷ 市場 注目 變數 ;
① 국내시장, 추세훼손 이후 기술적 반등
② 환율 1,294.90원까지 상승....분위기 변화
③ 美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급증 vs 영란은행 빅스텝+ Fed 위원들 매파적 발언
▷ 展望 : Fed의 긴축 우려 재개, 中 더딘 경기회복, 원자재 상승이 복합적으로 맞물리면서 원화가 가파른 약세를 통해 1,290원대 중반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 수급이 악화되면서 코스피, 코스닥 모두 20일이동평균선을 이탈했습니다만, 다행히 낙폭과 낙폭 일수 과다로 전일 기술적 반등이 형성되었습니다.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 선물 8,006계약( 6,841억원)을 환매수 했고, 현물은 1,068억원 순매도한 한편, 코스닥은 542억원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전일 코스피 현물 매도는 선물 환매수를 위한 헷지 영향도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들의 전략으로 보면 반등이 조금 더 나올 수 있음을 의미하죠.
기술적 분석상으로는 코스피가 거래량이 아쉽지만 5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반등이 나와줬고, 코스닥의 경우는 50일 이동평균선상에서 거래량을 수반한 반등이라는 점에서 저점 확인 시도를 기대해 봅니다.
금일 국내증시가 보합권 이상의 흐름을 보여준다면 현재 구간을 지지로 바닥을 잡기 위한 기간조정으로 진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틀前 저점을 훼손한다면 추가적 하락을 열어둬야 할 것입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 KOSPI, 2023년 외국인 순매수 최고금액 : 6/16 코스피 14조0,631억원
- 코스피 +13조1,146억원(-1,068억원)/ 코스닥 -1조9,121억원(+542억원)
○ Fed, 7月기준금리 인상에 무게... FOMC 7/25(화)~ 26(수)
- Fed Watch 기준금리 525~555bp : 7월 74.4%, 9월 65.6% (6/22 P.M 09:09 기준)
○ JP모간 "일부 운용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주식→ 채권으로 교체...단기 5% 하락 전망"
- 뉴욕증시 6월말까지 수급 악화 우려
○ 中, 드러나지 않은 지방부채 조사....실체 파악 후 7월 본격 경기부양 예상
○ Fed 관계자들의 매파적 발언 지속
- BOE 기준금리 50bp 인사으로 Fed 통화긴축에 대한 불안 가중
○ 美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급증에 "긴축 불안 축소 vs 경기침체 우려 증폭"
○ 韓, 금융권 연체율 급속....저축은행, 인터넷은행 약한 고리
- 다중채무 자영업자 대출 104조
- 18% 연체 위험, 금융불안 '뇌관'
○ 유가 4% 넘게 하락하며 $60 후반 진입.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6/ 29/목요일] 추세붕괴...하방경직성은 어디서? (0) | 2023.06.28 |
---|---|
◐[2023/ 6/ 26/월요일] 등 돌린 외국인 (1) | 2023.06.23 |
◐[2023/ 6/ 22/목요일]환율과 악화된 수급 (0) | 2023.06.21 |
◐[2023/ 6/ 21/수요일]美中 합의이혼 숙려기간 (0) | 2023.06.20 |
◐[2023/ 6/ 20/화요일]코스피, 코스닥 엇갈린 운명 (0) | 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