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投資/證券.不動産

◐[2023/ 3/ 6/월요일]다시 불안의 절벽을 타고~ 위로~

◐[2023/ 3/ 6/월요일]다시 불안의 절벽을 타고~ 위로~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지난 밤 : Dow +1.17%,    S&P500  +1.61%,    Nasdaq+1.97%      
   ▷ 整理 ; 전일 라파엘보스틱스 연은총재 발언에 3월 FOMC에서 0.25%ot 인상에 무게가 싣리며 10년물 국채금리 하락으로 성장주 주도의 상승 마감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 Kospi  +0.17%    Kosdaq  +1.93%  
   ▷ 展望 ; 다시 불안의 절벽을 향해


3월 FOMC에서 금리인상은 한국은행에게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는 의견을 드린 바 있습니다. 특히나 Fed의 금리인상 장기화는 실물경제가 악화되고 있는 우리 입장에서는 진퇴양난일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 부분은 분명 주의 깊게 체크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당장은 일본의 통화정책과 중국의 경제활동 효과 그리고 美의 자동차와 2차전지 보조금 지급이라는 유동성 효과가 작용하며 이 부분이 가려져 KOSPI가 하방 경직성을 유지하며 박스권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으나 어느 순간 이 효과가 사라지면 우리경제의 민낯이 드러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다만, 현재로서는 유동성 효과에 따른 움직임에는 동참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최근 3월 FOMC의 50bp 인상 우려로 약세를 보이던 증시는 라파엘보스틱스 연은총재의 발언으로 25bp 인상에 무게가 싣리며 다시 안정감을 보임에 따라 목전에 다가선 KOSPI가 20일 이동평균선 2,439pt를 돌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돌파 된다면 이번주 국내증시도 상승 일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 國內外 Issue 整理    
    ○ 국내증시, 2023년 외국인 순매수 (2020년~2022년까지 62.2조 순매도)
      - 순매수 규모 +7조2,381억원(-909
억원)
         ※ 금융투자 2023년 누적 매매규모 -3조2,490억원(+124억원)
   ○ 주요일정
       - 3/7 파월 Fed의장, 상원청문회에서 통화정책 보고/韓 GDP
       - 3/9 韓선물옵션 만기일
       - 3/10 BOJ 통화정책회의/美 고용지표 주목
       - 3/16 ECB 통화정책 회의
       - 3/17 美선물옵션만기일
       - 3/21~22 FOMC
       - 3/23~24 EU 정상회의
    KOSPI 20일 이평선 2,439pt(3/6 현재)근접....환율 1,300원 붕괴직전
    美, 中견제 지속/러시아 제재
    中, 2023년 경제성장률 목표 ‘5% 내외 ’ 제시
    1월 韓반도체 재고율 266%…26년만에 최고
   美상무장관, 올봄 중국 방문 추진…"바이든, 긴장 완화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