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10/ 목요일]전일부터 시작된 변동성 그리고 만기일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Dow -0.09%, S&P500 +0.02%, Nasdaq +0.31%
◈ 整理 ; 소비지표 발표 앞두고 긴축 우려하며 짙은 관망세에 "혼조"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지수 : Kospi 3,216.18pt -31.65pt(0.97%)/ Kosdaq 978.79pt +7.33pt (0.74%)
◈ 展望 ; 박스권 상단 저항 지속+ 만기일 과 KOSPI200 정기변경 앞두고 美 소비지표 발표 주목하며 "박스권내 제한된 흐름 지속 예상"
◈ 韓國物 動向
▷ MSCI ETF 한국물 92.62pt -0.72pt (0.77%)
▷ 야간선물지수 432.60pt -0.35pt (0.08%) 환산지수 3,245.20pt
▷ NDF 달러/원 1,117.40원 +6.79원 (0.61%)
◈ 投資 參考指標(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공포와 탐욕 지수 48p→ 50pt (양호), VIX 17.07(+3.96%)
▷ Dollar Index 90.120pt(+0.19%), 6월 금리동결 확률 94.0%→ 96.0%
◈ 美國債, 金(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美國債 2 년물 → 0.154% pt(전일 0.154% pt)
▷ 美國債 10 년물 → 1.535% pt(전일 1.535% Pt)
▷ COMEX GOLD 1oz.→ $1,895.65 (전일 $1,895.65)
▷ WTI→ $70.23 (전일 $70.23)
◈ 國內外 Issue 整理
○ 6/10 선물옵션만기일, KOSPI200 정기변경일/ 美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 6/15~ 16 FOMC 점도표와 발언수위 주목
- 이번주부터 Fed 발언이 제한되는 블랙아웃 기간
- 이미 옐런재무장관 "금리인상 립서비스"
○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 "인플레이션 일시적 현상, Fed 정책선회 상당시간 소요 예상"
- CNBC "Fed, 테이퍼링 대비시키는 캠페인 초기단계"
- 8월 잭슨홀컨퍼런스/ 9월 FOMC 중 Tapering 신호 예상
- 늦어도 파월 Fed 의장 임기내 마지막 회의인 12월 FOMC
- 긴축은 2022년 3월, 금리인상은 2023년 3월
○ 영란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 "금리인상 시사"
○ 인프라 부양案 "법인세율 인상 보류+ 규모 1.7조달러 조정안 무산"
- 민주당 상하원 독자적 처리 시사
○ 中 5월 PPI 12년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가중
○ 금일 달러/원 +3원 예상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6/ 15/ 화요일]성장주와 국채에서 6월 FOMC 결과를 보다 (0) | 2021.06.14 |
---|---|
◐[2021/ 6/ 11/ 금요일]인플레이션 우려를 딛고 S&P500 신고가 (0) | 2021.06.10 |
◐[2021/ 6/ 9/ 수요일]긴장감이 감도는 월가 (0) | 2021.06.08 |
◐[2021/ 6/ 8/ 화요일]인플레이션은 낭중지추 (0) | 2021.06.07 |
◐[2021/ 6/ 7/ 월요일]Fed의 통화정책 놓고 시장 들썩 들썩 (0) | 2021.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