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5/ 13/ 목요일]일파만파 확산되는 인플레이션 논란
♣️ 美國 動向 (작성싯점 실시간 지수)
▷ Dow -1.99%, S&P500 -2.14%, Nasdaq -2.67%
◈ 整理 ; 美 CPI 등 경제지표 예상치 상회에 인플레이션 논란 가열되며 "하락"
♣️ 韓國 動向 (전일 지수)
▷ 전일 지수 : Kospi 3,161.66pt -47.77pt(1.49%)/ Kosdaq 967.10pt -11.51pt (1.18%)
◈ 展望 ; 美 인플레이션 논란 가열+ 외국인 대규모 매도+ 공매도 집중에 3,110pt 근접하며 사흘째 하락 예상
- 美이 유가 통제를 위한 이란, 베네수엘라 경제제재 해제 및 美內 셰일오일 생산 여부 주목, 유가상승 통제 성공시 증시 재상승, 유가상승 통제 실패시 Tapering Tantrum 가속화
◈ 韓國物 動向
▷ MSCI ETF 한국물 88.21pt -3.93pt (4.27%)
▷ 야간선물지수 415.90pt -4.60pt (-1.09%) 환산지수 3,127.07pt
▷ NDF 달러/원 1,131.56원 +11.98원 (1.07%)
◈ 投資 參考指標(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공포와 탐욕 지수 51p→ 37pt (공포), VIX 27.59(+26.33%)
▷ Dollar Index 90.770pt(+0.70%), 6월 금리동결 확률 93.1%→ 93.1%
◈ 美國債, 金(작성싯점 실시간 수치)
▷ 美國債 2 년물 → 0.167% pt(전일 0.160% pt)
▷ 美國債 10 년물 → 1.697% pt(전일 1.624% Pt)
▷ COMEX GOLD 1oz.→ $1,814.80 (전일 $1,838.25)
▷ WTI→ $65.81 (전일 $65.40)
◈ 國內外 Issue 整理
○ 美 4월 소비자 물가지수(4.2%pt↑/컨센서스 3.6% pt) 09년 이후 최고폭→ 인플레이션 논란 가열
- 이란과 베네수엘라 경제제재 해제를 통해 유가상승 통제 여부가 포인트
※ 단, 저유가 상황 연출을, 중국이 흡수하고 러시아가 생산축소로 제동 걸수 있음은 중대변수
- 바이든, 블랙리스트서 中 샤오미 제외→ 中 관세인하로 수입물가 낮추는 전략 병행 할 듯
- 美內 휘발유 사재기 극성→ 인플레이션 공포 일상으로 확산
- 클라리다 부의장 "일회성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일시적 영향"
※ "연준 위원들 주요 메시지는 일관…미묘한 변화도 감지"
○ Fed Tapering 신호 시기 촉각
- 8월 잭슨홀컨퍼런스/ 9월 FOMC
- 긴축은 2022년 3월, 금리인상은 2023년 12월~ 2024년 3월 예상
○ 9월 전까지 등락 반복하며 급변동성 장세 연출 예상→ 학습효과로 참여자들 판단 흐려질 것
○ 4/21 이후 16일 동안 Kospi에서 외국인 7.9조 매도
- 과도한 신용잔고 부메랑 될 수 있어 주의
○ 나스닥 쌍봉 형성 및 50일 이동평균선 이탈
- 기술주에 이은 경기민감주 하락은 공급 부족에 따른 원자재 폭등으로 수익성 압박 우려때문
○ 유가 상승추세 및 신고가, CBOE VIX지수 바닥에서 수직상승
○ 금일 달러/원 +8원 (1,132원) 전망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5/ 17/ 월요일]투심 진정 속 상승 시도의 한 주 (0) | 2021.05.15 |
---|---|
◐[2021/ 5/ 14/ 금요일]기술적 반등이 기대되는 싯점 (0) | 2021.05.14 |
◐[2021/ 5/ 12/ 수요일]美 인플레이션 방어 방법은? (0) | 2021.05.11 |
◐[2021/ 5/ 11/ 화요일]월가, 인플레이션은 현실이었나봐! (0) | 2021.05.11 |
◐[2021/ 5/ 10/ 월요일]12일 美소비자 물가지수 추이 주목 (0) | 202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