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投資/證券.不動産

♣[18/11/12/월]금리와 달러추이 주목♣

♣[18/11/12/월]금리와 달러추이 주목♣



  글로벌 동향

◈ 주식
시장

 미국 : Fed 긴축기조 확인 및 세계경기 둔화 우려에 "하락"

 Dow  -0.77%  S&P  -0.92%,   Nasdaq  -1.65%

 유럽 : 유가하락+ 세계경기 둔화 우려에 "하락" 

 스톡스 50  -0.25%

◈ 통화와 금속

☞ 엔/달러 113.82(-0.21%).......전년말 112.68

☞ 위안/달러 6.955 (+0.34%).......전년말 6.51

☞ 미국 2 년물 금리 2.928%p (-0.004%p).......전년말 1.887%pt

☞ 미국10 년물 금리 3.185%p (-0.046%p).......전년말 2.410%pt

☞ 일본10 년물 금리 0.120%p (-0.006%p).......전년말 0.050%pt

☞ COMEX GOLD 1oz. 1,206.4(-1.35%).......전년말 1,306.30

☞ NYMEX White GOLD 1oz. 852.4(-1.65%).......전년말 934.20

☞ LME Copper 3M. 6,056.00 (-1.61%).......전년말 7,247


◈ 서부텍사스산 중질유

☞ 미국 원유재고 급증에 "하락" / $60.19(-0.79%).......전년말 $60.42


 심리지표와 달러인덱스

 탐욕지수 18point (100 point 기준), VIX 17.36 (+3.83%) 

☞ Dollar Index 96.74pt(+0.20%), 12월 금리인상 확율 75.8%


 CME 야간시장

 종가 269.20pt대비 -2.30pt (0.84%)환산지수 2,068.42pt.


 주요국 경제 일정

 韓: 없음.
 中: 없음.

 유로존없음
 : 재향군인의 날로 휴장.


  국내 동향


 전일 지수 등락율    

Kospi 2,086.09pt   -6.54pt(0.31%) Kosdaq 687.29pt   -6.38pt(0.92%)


 국내외 issue

☞ 11월 FOMC 이후 글로벌 시장 변동성 확대 재개
- Fed 통화정책 시장컨센서스 불구 2019년 경계감 확대
- Fed 매파적 기조 확인되며 美 국채금리 급등
- 신흥국 통화 약세 가속화 재개
- 14일 파월의장과 댈러스 카플란 총재 토론내용 이목 집중
☞ 미중 무역분쟁 진정기미...정상회담 앞서 관계개선 모색
- 폼페이오+매티스 vs 양제츠+ 웨이펑허...외교.안보 대화
- 미, 냉전/ 봉쇄정책 추진 부인 
- 중, 무역전쟁 해결/ 북 비핵화 협력 논의
☞ 연기금 운용사 교체에 따른 매물 출회 지속
- 운용사 교체 및 국내투자 축소에 따른 매물 출회
☞ 삼성바이오 재감리, 북미 고위급회담 무기한 연기 등도 부담 요인
☞ 세계경기 둔화 우려 재부각.


  금일 투자 전략 


미Fed의 2019년 금리정책기조 확인과 연기금의 매물출회 연장 가능성으로 이번주 역시 변동성이 확대될 수 밖에 없는 여건. 특히 지난주말엔 원화가 달러대비 11원이나 폭등하며 환율 변동성 확대. 그러나 수급 주체에서는 종전과 다른 패턴이 형성되고 있어 종전과 같은 시각의 시장 주시는 위험.


지난주말 외국인은 제한적이지만 현물시장에서 숏커버링을 지속했고, 선물시장에서는 순매수를 보임. 반면, 펀드환매와 연기금의 운용사 교체로 인한 후유증 그리고 국내시장 축소로 인해 기관매도가 확대된 것이 특징. 과거 외국인에 이어 내국인이 매도에 나선 경우 얼마 지나지 않아 추세전환이 이어졌던 것을 감안하면 변곡점도 머지않은 듯. 


결국, 이번주 미국채 금리추이와 14일 연준의장의 발언을 주목하면서 기관 매물로 인한 하락을 저가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유효한 전략일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