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8. 11. 7. 수요일

<제주항공, 아시아나항공 3Q Review>


키움 조선/운송/방산 이창희


11월 7일 리포트


<제주항공 3Q Review>


제목: 이연되는 여객 수요에 대한 준비


1. 3Q 영업이익 378억원, 일본 노선 영향 제한적


- 3Q 제주항공은 매출액 3,501억원(YoY +31.3%), 영업이익 378억원(YoY -6.5%) 기록

- 일본 지역 지진, 태풍 등 자연 재해 영향에도 동남아 노선운항횟수 확대로 전년 대비 30% 이상의 외형 성장 기록


2. 유류비 부담으로 수익성은 다소 감소


- 3분기 항공기유 가격 배럴당 88달러 전년 대비 약 47% 증가, 유류비는 93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74.4% 증가.

- 또한, 일본 자연재해 영향 및 지방발 신규 취항 노선으로 인해 L/F가 감소함에 따라 수익성 다소 악화.

- 동사는 향후 유류비 부담 감소 위해 연료 효율성이 뛰어난 신기종 항공기 도입 검토 중


3. 여객 수요 이연될 것


- 올해 4분기는 작년 추석 기저효과에 따라 실적 기대치는 높지 않은 상황. 현 상황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여객 수요의 이연이 예상되는 내년 1분기로 판단.

- 동사는 신규 슬롯 확보가 수월한 지방발 신규 노선 취항을 늘려 이연될 여객 수요를 확보할 가능성 큼.

- 단기적으로 실적이 둔화됨에 따라 목표 주가는 45,000원으로 하향하지만 중장기적 투자 관점은 유효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


<아시아나항공 3Q Review>


제목: 유동성 우려 해소구간


1. 3Q 영업이익 1,010억원, 컨센서스 하회


- 3Q 아시아나항공은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8,521억원(YoY+13.6%), 영업이익 1,010억원(YoY-14.8%), 당기순이익 478억원(YoY+181.3%) 기록.

- 매출액은 연결 자회사 실적 회복이 가시화 됐고 화물의 영업 호조에 따라 분기 역대 최대 기록.

- 자회사 중에서 그 동안 적자였던 에어서울의 매출이 전년 대비 약 2배이상 늘어나며 흑자 전환.

- 또한, 체리 등 신선 식품 및 전기차 배터리 등 고단가 품목의 운송 증가로 화물 운임 전년 대비 약 16% 증가하며 매출 성장 견인


2. 항공 자회사 실적 개선 지속


- 최근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의 국제선 여객수 견조한 성장세로 매출액 각각 전년대비 16.7% 129.6% 증가

- 다만, 향후 중장거리 노선 비중 확대 위해서는 새로운 기재 도입이나 기존 항공기를 중장거리 노선에 투입해야 할 필요성 존재.


3. 유동성 우려 해소 가시화


- 2018년도 3Q 기준 총 차입금은 17년말 대비 9,159억원 감소한 약 3.1조원.

- 3Q까지 분기별 평균 상환액 약 6,526억원에서 향후 분기별 차입금 상환 부담 약 3,000억원대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

- 4분기 중으로 자회사인 아시아나 IDT상장에 따른 구주 매출 및 ABS 발행으로 약 4,730억원의 자금 조달 예정

- 결론적으로 유동성에 대한 우려는 해소 구간인 것으로 판단.

- 다만 대외 변수에 따른 수익성 감소가 전망되어 투자의견 ‘BUY’는 유지하지만 목표주가 ‘5,300원’으로 하향.


궁금하시거나 필요하신 내용 있으시면 연락 부탁 드립니다



[키움/화학정유 이동욱]    

    

11월 7일 리포트     

  

 

1. 기업브리프(금호석유화학) 

 

- 제목: 페놀유도체 업황에 대한 당사의 의견 

 

- 페놀유도체, 견고한 업황 지속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30,000원  

 

* 금호석유화학의 페놀유도체 향후 전망에 대한 시장의 오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내후년 계획된 BPA 증설은 존재하지만, 중국을 필두로 한 PC 증설이 더 커서, BPA 업황은 중기적으로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또한 페놀 수급 타이트로 인한 페놀 생산량 증가로 페놀 부산물인 아세톤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페놀/아세톤 통합 스프레드는 오히려 강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BPA 증설로 동사의 페놀/아세톤 외부 판매량이 감소하며, 페놀/아세톤 시황 변동 리스크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 기업브리프(코오롱플라스틱) 

 

- 제목: 3분기, 창사 최대 매출액 기록 

 

- 3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부합 

 

- 단일 싸이트 기준 최대 POM 생산능력 확보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0,000원 

 

* 코오롱플라스틱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57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였습니다. 주요 원재료(메탄올, 나일론 칩) 가격 상승 및 노후 POM 설비 일부 교체에 따른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1) POM 수급 타이트 지속, 2) 바스프와 합작 플랜트 및 자체 고점도 플랜트 가동분이 올해 3분기 실적에 일부 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일회성 비용(플랜트 셧다운) 약 13억원을 고려할 경우 실제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70억원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키움/화학정유 이동욱]    

    

11월 7일 리포트     

  

 

1. 기업브리프(금호석유화학) 

 

- 제목: 페놀유도체 업황에 대한 당사의 의견 

 

- 페놀유도체, 견고한 업황 지속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30,000원  

 

* 금호석유화학의 페놀유도체 향후 전망에 대한 시장의 오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내후년 계획된 BPA 증설은 존재하지만, 중국을 필두로 한 PC 증설이 더 커서, BPA 업황은 중기적으로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또한 페놀 수급 타이트로 인한 페놀 생산량 증가로 페놀 부산물인 아세톤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페놀/아세톤 통합 스프레드는 오히려 강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BPA 증설로 동사의 페놀/아세톤 외부 판매량이 감소하며, 페놀/아세톤 시황 변동 리스크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 기업브리프(코오롱플라스틱) 

 

- 제목: 3분기, 창사 최대 매출액 기록 

 

- 3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부합 

 

- 단일 싸이트 기준 최대 POM 생산능력 확보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0,000원 

 

* 코오롱플라스틱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57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였습니다. 주요 원재료(메탄올, 나일론 칩) 가격 상승 및 노후 POM 설비 일부 교체에 따른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1) POM 수급 타이트 지속, 2) 바스프와 합작 플랜트 및 자체 고점도 플랜트 가동분이 올해 3분기 실적에 일부 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일회성 비용(플랜트 셧다운) 약 13억원을 고려할 경우 실제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70억원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181107 대신증권 김현석입니다


#해외증시

1. 미국증시

- 주요지수는 중간선거 결과를 기다리는 가운데 상승 마감.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민주당이 하원, 공화당이 상원을 가져가는 구도

- 지난 16년 대선 당시 선물옵션 거래가 폭증했던 것을 감안하면 높은 변동성이 예고

- 이는 장중에 개표상황을 보게되는 오늘 아시아/유럽시장도 마찬가지

- 아마존의 아마존 웹 서비스에 반도체를 공급키로 한 AMD 주가가 3.9% 상승, 양호한 3분기 실적을 내놓은 약국 체인 CVS헬스 주가는 5.7% 상승.최근 부진했던 애플 주가는 이날 1.1%가량 반등. 업종별로는 전 업종 상승

- 국제유가는 미국이 이란제재에 있어서 8개국의 예외를 두었고,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수요측면에서 의문이 발생하며 하락


2. 유럽증시

- 미국중간선거 결과를 기다리는 가운데 브렉시트 협상에 낙관론이 우세해지며 파운드화 강세로 영국증시는 하락

- 이탈리아 정부가 EU와 마찰을 빚고 있는 예산안을 수정하지 않겠다고 하며 정치적 불확실성 가중



[키움/전기전자 김지산]

전기전자 Daily News (18.11.7)


1. 국내뉴스

▶️LG디스플레이, 애플 아이폰 OLED 패널 양산 착수…12월부터 40만대 납품 개시 (전자신문)

- 이달 말부터 파주에 위치한 'E-6'에서 애플용 패널 생산, 이미 초기 가동은 시작한 상태

- https://bit.ly/2D6O1fh

▶️LG전자 '세탁기·건조기', 컨슈머리포트 상위권 싹쓸이…톱10 중 8개 (전자신문)

- LG전자 가전, 앞서 JD파워가 실시간 생활가전 소비자 만족도 평가에서도 11개 부문 중 4개 부문에서 1위 차지한 바 있어

- https://bit.ly/2SWtQGu

▶️LS전선, 오만 최초 국가 광대역 통신망 구축 사업 참여 (전자신문)

- 복수의 구축 사업자 중 하나로 선정. 2021년까지 도시 중심 1단계(약 2000억원 중 수백억원 매출 확보)와 2030년까지 지방으로 확대하는 2단계로 구분

- https://bit.ly/2PeGdzu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워치 탑재한 ‘전기 오토바이’ 나온다 (이데일리)

- 伊 에너지카 출시하는 전기 오토바이에 삼성 기술 탑재, 백미러 대신 '갤럭시' 장착..사각지대 위험상황 전달

- 갤럭시 워치로 시동..위치·배터리 상태도 확인. "전장 사업 확대 일환..다양한 분야 노하우 쌓겠다는 것"

- https://bit.ly/2OuCVTn

▶️폴더블 OLED 시장, 2023년 약 28조원 규모로 성장 전망 (디지털데일리)

- 유비리서치, "19년 폴더블 OLED 시장은 4억8000만 달러(약 5400억원) 규모에 불과하지만 2023년에는 246억달러(약 27조7000억원)로 성장할 것"

- 5G 통신 시대에는 4K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는 7인치 이상의 스마트폰이 필수품. OLED 패널 업체는 폴더블 OLED 생산 성공 여부에 따라 기업 가치 결정

- https://bit.ly/2yX8gcu

▶️현대차, 세계 최초 '지문 인식'으로 시동 거는 車 양산 (전자신문)

- 내년 2분기 中 출시 신차에 지문인식센서 모듈 탑재

- https://bit.ly/2JIb2X8

▶️지문인식, 노트북 필수 기능으로..올해 보급형 제품까지 확산 (전자신문)

- 향후 데스크톱 PC에도 지문인식 기능이 적용될지 주목

- https://bit.ly/2ySuIDG

▶️국내 배터리 3사, 中 11차 전기차 보조금 명단에도 없어 (전자신문)

- 국내 배터리 3사, 중국 정부 보조금 정책이 폐지되는 2020년 이후 중국 시장 노린다

- https://bit.ly/2zwTlW0


2. 해외뉴스

▶️중국 스마트폰향 AP 출하량 4분기 줄어들 것 (Digitimes)

- 3Q18 QoQ 13.9% 증가에도 불구, 4분기엔 엔드 마켓 수요의 가시성 약화로 스마트폰 벤더들 AP 주문에 다소 보수적. 4.6% 감소 전망

- https://bit.ly/2PaMxYC

▶️IDC: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 3Q18 QoQ -8.6%, YoY -7.9% 감소한 3,160만대 (Telecompaper)

- 애플 26.6% 970만대 출하, 삼성 14.6%, 530만대, 아마존 12% 440만대 순

- https://bit.ly/2RDr3Ae

▶️샤오미 뉴욕 행사 발표, 미국 시장 진출? (PhoneArena)

- 12월 8일 뉴욕에서 이벤트 개최. 통신사와의 제휴로 인한 행사 가능성 높아

- https://bit.ly/2Qoi8m2

▶️에어팟2, 블루투스 SIG 인증 받은 것으로 보여 (PhoneArena)

- 새로운 에어팟 모델명 A2031, A2032 발견. 블루투스 5.0, 배터리 수명 개선, 향상된 오디오 음질 기대. 3월 아이패드 미니와 함께 공개 기대

- https://bit.ly/2qydfvm

▶️테슬라, 2019년에 인도 진출 (News18)

- 아프리카, 남아공에도 진출, 2020년엔 더 많은 국가 진출 시사.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에 친화적인 인도 정부 정책 수혜 기대

- https://bit.ly/2Ouvqf5




보험·증권 Daily_키움증권 김태현(Tel 3787-4904)

안녕하세요. 키움증권 김태현입니다. 11월 7일 Daily 보내드립니다.  


★ 지표(11/6) 

국내 국채 금리 3년물 1.98%(+0.2bp), 5년물 2.12%(+0.7bp), 10년물 2.30%(+1.6bp), 일평균거래대금(코스피+코스닥) 8.2조원(+0.3조원)

미국 국채 10년물 3.23%(+2.7bp), WTI 62.2bbl(-1.4%), 원/달러(원) 1,123.8(+0.0%)


★ 주요 뉴스

1. 금융위기 오면 증권사가 제일 취약…높은 상호연계성 탓(연합인포맥스)

2. 금융위원장, "증권거래세 폐지 진지하게 검토해야"(중앙일보)

3. 금융결제원, 타인의 생명보험 계약 전자청약서비스 연내 도입(파이낸셜뉴스)

4. 암보험 진단비 경쟁 '생보 VS 손보'(보험매일)

5. 우리은행 보험사 인수합병 시장 큰 손 될까(보험매일)

*보험·증권 Daily를 보시면 자세한 내용이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팝업으로 뜹니다^^


https://goo.gl/jiksPx



_____

* 주요 지수

다우존스: 25635.01 (0.68%)

S&P500: 2755.45 (0.63%)

나스닥: 7375.964 (0.64%)

유로Stoxx: 3207.42 (-0.31%)

FTSE100: 7040.68 (-0.89%)

CAC40: 5075.19 (-0.51%)

DAX30: 11484.34 (-0.09%)

닛케이225: 22147.75 (1.14%)

상해종합: 2659.356 (-0.23%)

항셍: 26120.96 (0.72%)

VIX: 19.92 (-0.20%)

S&P 500 은행 인덱스: 324.98 (0.25%)

유로Stoxx 은행 인덱스: 98.86 (-0.51%)

닛케이 은행 인덱스: 176.44 (1.01%)

LIBOR-OIS 스프레드: 0.2765 (-4.04%)

_____

* 주요 지표 (서베이, 발표치 or 발표시간, 이전치)

전거래일 (6일)

독일 9월 공장수주 MoM (-0.5%, 0.3%, 2.0%)

금일 (7일)

독일 9월 산업 생산 MoM (0.1%, 16:00,. -0.3%)

미국 11/2 MBA주택융자 신청지수 (--, 21:00, -2.5%)

_____

* 환율

파운드달러: 1.31 (0.43%)

아시아통화 인덱스: 104.24 (0.01%)

달러인덱스: 96.29 (0.01%)

원달러: 1123.67 (-0.02%)

원엔: 9.9 (0.17%)

원위안: 162.21 (0.00%)

엔달러: 113.46 (-0.24%)

달러유로: 1.14 (0.10%)

위안달러: 6.92 (0.09%)

_____

* 상품

WTI: 62.21 (-1.41%)

현물 금: 1226.82 (-0.38%)

LME 3개월 구리: 6191 (-1.46%)

BDI: 1428 (-1.99%)

Bitcoin 선물: 6415 (0.31%)

_____

* 채권

미국10y: 3.22 (1.914bp)

미국2y: 2.928 (2.047bp)

독일10y: 0.43 (0.72bp)

그리스10y: 4.28 (3.48bp)

스페인10y: 1.58 (1.72bp)

이탈리아10y: 3.39 (7.21bp)

포르투갈10y: 1.89 (1.45bp)

SHIBOR 1w: 2.61 (-0.025)

중국 CDS 5y: 66.15 (-0.583)

한국 CDS 5y: 40.16 (-0.461)

브라질 CDS 5y: 196.06 (-0.005)

_____

* S&P500 섹터별

자유소비재: (0.54%)

필수소비재: (0.55%)

에너지: (0.34%)

금융: (0.50%)

헬스케어: (0.52%)

산업재: (1.10%)

IT: (0.61%)

커뮤니케이션: (0.60%)

소재: (1.51%)

_____

* S&P500 Winners & Losers

UP

마일란 (16.13%)

시만텍 (12.59%)

모자이크 (10.61%)

마틴 마리에타 머터리얼스 (8.42%)

트립어드바이저 (7.06%)


DOWN

넥타 세러퓨틱스 (-9.80%)

브로드리지 파이낸셜 솔루션스 (-9.70%)

폴로 랄프 로렌 (-6.59%)

아메리소스버겐 (-5.15%)

메리어트 인터내셔널/매릴랜드 (-5.08%)

_____

$$$ 미국 주요기업 등락

자동차/부품/타이어: GM (0.58%), 포드 (0.10%), 크라이슬러 (0.37%), 테슬라 (-0.10%) / 보그워너 (1.52%)  / 굿이어 (2.96%)


IT: 애플 (1.08%), 마이크론 (-0.30%), 인텔 (-1.50%), 알파벳 (1.31%), 페이스북 (0.85%), 페이팔 (0.76%), 아마존 (0.92%), 넷플릭스 (-1.46%)


오일메이저/Shale/태양광: 엑슨모빌 (0.43%), 셰브론 (-0.03%) / EOG리소시스 (0.92%), 파이어니어 (0.16%) / 퍼스트솔라 (-2.50%)


헬스케어: 길리어드 (1.11%), 암젠 (0.44%), 바이오젠 (0.99%), 앨러간 (-0.16%), 존슨&존슨 (0.26%), 일라이릴리 (-3.85%), 스펙트럼 (-4.38%)


중국기업: 알리바바 (1.94%), 바이두 (0.97%), JD닷컴 (-2.28%), 씨트립 (-1.55%), 넷이즈 (1.04%), 웨이보 (1.34%)

_____

元元元 홍콩 주요기업 등락

자동차: BYD (-1.16%), 브릴리언스 (1.54%), 그레이트월 (-1.80%), BAIC (0.89%)


통신/IT: 차이나모바일 (1.44%), 차이나유니콤 (2.02%), 차이나텔레콤 (2.13%) / 텐센트 (-0.14%), 킹소프트 (0.17%), 레노버 (2.61%), 하이얼 (0.11%)


카지노/음식료: 갤럭시 (-1.61%), 샌즈차이나 (-1.33%), 윈마카오 (-1.08%) / 왕왕 (1.61%), 멍니우 (1.80%), 강사부 (0.94%)

__

은행/보험/증권: 공상은행 (0.18%), 중국은행 (0.29%), 건설은행 (0.77%) / 핑안보험 (0.83%), 중국생명 (0.37%) / CITIC증권 (2.16%), 하이통증권 (-0.24%)



#주요종목신고가신저가

기간별 거래소 신고가 종목

- 60일: 유한양행, 메리츠종금증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52주: 없음

- 역사적: 휠라코리아


기간별 거래소 신저가 종목

- 60일: 태광산업, 롯데푸드, 롯데관광개발

- 52주: DGB금융지주, 오리온

- 역사적: 스카이라이프


기간별 코스닥 신고가 종목

- 60일: 인트론바이오, 레고켐바이오, 다원시스, 아이센스

- 52주: 없음

- 역사적: 없음


기간별 코스닥 신저가 종목

- 60일: GS홈쇼핑, 리노공업, 서부T&D

- 52주: 없음

- 역사적: 없음



#해외뉴스

- 도요타, 3분기도 질주…영업이익 11% 증가 :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0671171


- 금융전문가들 중국發 글로벌 위기 다가온다 : http://m.mk.co.kr/news/economy/2018/695715


- 애플, 아이폰XR 생산 감축說 :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8110700031




[키움/화학정유 이동욱]    

    

11월 7일 리포트     

  

 

1. 기업브리프(금호석유화학) 

 

- 제목: 페놀유도체 업황에 대한 당사의 의견 

 

- 페놀유도체, 견고한 업황 지속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30,000원  

 

* 금호석유화학의 페놀유도체 향후 전망에 대한 시장의 오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내후년 계획된 BPA 증설은 존재하지만, 중국을 필두로 한 PC 증설이 더 커서, BPA 업황은 중기적으로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또한 페놀 수급 타이트로 인한 페놀 생산량 증가로 페놀 부산물인 아세톤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페놀/아세톤 통합 스프레드는 오히려 강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BPA 증설로 동사의 페놀/아세톤 외부 판매량이 감소하며, 페놀/아세톤 시황 변동 리스크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 기업브리프(코오롱플라스틱) 

 

- 제목: 3분기, 창사 최대 매출액 기록 

 

- 3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부합 

 

- 단일 싸이트 기준 최대 POM 생산능력 확보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0,000원 

 

* 코오롱플라스틱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57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였습니다. 주요 원재료(메탄올, 나일론 칩) 가격 상승 및 노후 POM 설비 일부 교체에 따른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1) POM 수급 타이트 지속, 2) 바스프와 합작 플랜트 및 자체 고점도 플랜트 가동분이 올해 3분기 실적에 일부 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일회성 비용(플랜트 셧다운) 약 13억원을 고려할 경우 실제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70억원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키움/화학정유 이동욱]    

    

Westlake Chemical 컨퍼런스콜 Q&A 

 

 

1. 가성소다 가격 책정 전망은? 내년 수요/공급 및 중국의 환경 영향 지속 전망? 

 

- 중국 정부는 환경 문제에 민감하고, 개선하기를 원하지만, 향후 고용, 생산, 사업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중. 앞으로는 균형적으로 갈 것으로 예상. 그러나 이것은 중앙 정부의 위임이 아니라 지방 정부의 위임이라고 이해됨. 가성소다는 겨울에는 업황이 슬로우 전망. 다만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 및 신규 공급 제한으로 견고한 업황 지속 예상 

 

 

2. 3분기 비닐부문 실적 감소 요인은? QoQ 

 

- 가성소다 가격은 더 높았지만, 전 분기 대비 에틸렌 구입 비용이 증가하였음.  

 

 

3. 지난 2년 동안 올레핀부문 물량은 감소했는데, 올해 3분기는 물량 증가가 컸음, 향후 물량 전망은? 

 

- 정기보수 등에 기인. PE 턴어라운드를 대비하여 일찍 재고를 축적했고, 3분기 성수기에 수요가 많았고, 재고가 있어서 좋은 판매 물량을 보임. 

 

 

4. 가성소다/PVC 가격이 현재에 있다면, 내년 비닐부문 EBITDA 전망은? 

 

- 에탄과 에틸렌 공급 원료 비용이 동일하다면, 내년/내후년에 생산능력 확대로 EBITDA 개선 예상 

 

 

5. 원재료 에틸렌 가격 변화에 대해 향후 계획있는지? 

 

- 산업에서는 원료 유연성이 제한적임. 업계는 70~80%가 순수 에탄 투입 설비임. 일부 다른 원재료 투입 설비도 있으나, 많은 신규 크래커는 에탄 기반임. 또한 프로판 일부 부탄 투입 비용이 에탄 투입 비용보다 여전히 높은 상황. 참고로 10월에 에탄 가격 3배 이상 올라갔음.  

 

 

6. 내년 디보틀넥킹이나 신규 프로젝트 기대할 수 있나? 

 

- 롯데케미칼 에틸렌 자산이 내년 상반기 가동 개시, 또한 일부 독일 시설 확장 등이 있음. 

 

 

7.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확장? 

 

- 4분기에 자사주 매입 더 활발해질 전망. 다만 매분기별 매입에 대한 특별한 의무적인 조항은 아님. 

 

 

8. 가성소다의 단기적 약점은? 

 

- 4분기에 톤당 20달러 정도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 다만 내년 2분기 정도에 30달러 정도 상승 전망(IHS).  

 

 

9. 항후 12월 정도의 폴리에틸렌 업황은? 

 

- 재고는 40~42일 정도로 잘 관리되고 있는 것 같음. IHS 전망에 따르면 내년 3월에 올라가고, 11월에 내려올 것으로 보임. 원유 가격 상승하면, 미국/중동 이외 지역 약세이고, 원유 가격 하락하면, 미국/중동 약세일 전망 

 

 

10. 롯데 크래커 소유 지분을 늘리기 위해 3년 옵션과 관련된 비용에 대한 업데이트는? 

 

- 롯데가 그 시설을 건설하고 자금을 조달하는 동안 롯데의 상환을 원할 경우, 그 자산에 대한 시설의 총 설치 비용과 한 자리 숫자의 이자 비용이 소요됨.  

 

 

11. 롯데의 크래커 건설 소요 비용은 19억 달러? 

 

- 정확히는 공개적으로 20억 달러를 투자 

 

 

12. 4분기 턴어라운드 관련 비용은? 

 

- 3분기와 유사한 천만 달러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