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과의 여전한 갈등

[지주알다주알/KTB 시황/전략 이재선 ☎️ 2184~2364] 

 

★KOSPI 2,100~2,170pt: 중국과의 여전한 갈등  

 

★경제 지표 및 주요 이벤트 일정  

 

경제 지표: 미국 9월 신규주택매매 (10/24), 한국 3Q GDP(10/25)   

 

실적 및 기타: 페이스북 & 보잉(10/24), 미 베이지북 발표(10/24), ECB 통화정책회의(10/25) 

 

 

시황 Focus  

 

-시장의 상승세는 미국의 환율보고서 발표 이후에도 제한적인 상태 

 

- 미 재무부는 여전히 위안화 약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으나, 문제는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절상에 대한 의지가 미약하다는 점 

 

- 인민은행은 미국 재무부의 환율보고서 발표 이후 위안화를 지난 1월 이후 최대폭 수준으로 절하 고시 

 

■ 주목할만한 Issue 1: 미 모기지 금리 5% 돌파  

 

- 미국 30년 만기 모기지 금리는 5%를 돌파, 8년 내 가장 높은 수준 기록 

 

- 이에 일각에서는 주택 시장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 제기 

 

- 그러나 주택 시장이 08년도 버블처럼 급격히 침체될 가능성은 낮음 

 

- 최저치까지 떨어진 실업률과 양호한 소비 심리가 여전히 수요를 지지 

 

■주목할만한 Issue 2: 연준과 시장의 엇갈린 생각   

 

- 9월 FOMC 의사록을 통해 미 연준의 기존 19년 세차례 추가 금리 인상 기존 뷰 재확인. 그러나 시장은 여전히 19년 2차례  인상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는 중  

 

-  차후 미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더욱 더 중요한 변수로 자리잡을 것 

 

- 과거 중앙은행과 시장의 소통의 실패는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촉발시킨 바 있음 

 

- 대표적인 사례로는 13년 6월 국채금리 급등과 증시 조정을 촉발 시킨 버냉키 쇼크 

 

- 당시 버냉키 연준 의장은 경기 개선 속도가 둔화되는 환경 속에서 QE축소 가능성을 언급하였으며, 미국채 금리는 100bp가량 급등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bit.ly/2OxplU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