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불안한 미래를 염두에 두고 반응한 증시

불안한 미래를 염두에 두고 반응한 증시

2018.10.16 조병현 



1.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낮은 벨류에이션

현재 한국 증시의 벨류에이션은 PER로 보나 PBR로 보나 저점 영역에 위치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려움

신흥국이나 글로벌 증시에 대한 상대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분명 낮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음


2. 아직 실물 지표들은 망가지지 않았다

현 상황이 G2간 무역 분쟁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본다면 결국 실물 경기의 위축에 대한 두려움이 그 근간에 자리잡고 있을 것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무역지표들을 보면 중국의 수출과 미국의 수입이 모두 견조. 심지어 9월 중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

결국 아직 실질적인 경기 위축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음


3. 불안한 미래를 염두에 두고 반응했던 증시 

결국 현재의 증시 부진은 불안한 미래를 선반영한 측면이 있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된다면 빠른 회복도 가능할 수 있음

단, 관세 확대를 반영한 10월 무역 지표가 부진을 보일 가능성이 남아있고, 11월 중반까지 G2 무역분쟁과 관련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찾아보기 어려워 당분간 바닥 확인 과정이상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임

지금은 중국의 경기 부양 역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는 상황이나, 무역 분쟁과 관련된 우려가 완화되는 구간이 도래한다면 중국의 경기 부양과 미국의 인프라 투자, 에너지 섹터의 CAPEX 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될 여지가 있다고 판단됨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