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PER 예상 주요 섹터
"美, AMSL·도쿄일렉 등 대중국 반도체 무역제재 수위 더 높인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복수의 소식통들은 미국이 네덜란드 ASML과 일본 도쿄일렉트론 등의 기업이 계속 중국에 첨단 반도체 기술 접근을 허용할 경우 가장 엄격한 무역 제한 조치 사용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주요 동맹국들에 전했다고 보도했다.
미국이 검토 중인 조치는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가 꼽힌다. 이 규칙은 다른 나라에서 만든 제품이라도 미국산 소프트웨어나 장비·기술 등을 조금이라도 사용했으면 해외에 수출할 때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한다.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조치다.
미국의 3대 반도체 장비기업인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램리서치, KLA는 미국 측 조치가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중국 기업들의 기술 발전을 막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국 업체들에 타격만 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다만 일본과 네덜란드 측의 반발을 우려해 FDPR 적용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FDPR의 대안으로는 미검증기관명단(UVL·수출 통제 우려 대상)의 확대 등이 거론된다. 기업이 특정 제한된 기술을 출하하기 위해 라이선스를 취득하도록 요구하는 제도로, 미확인 목록의 기준을 확대하는 것이다.
미국의 압박에 반대해 온 동맹국들은 오는 11월 미국이 대선을 앞두고 있어 정책을 수정할 유인이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들 정부가 제재 강화에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해 미국이 이를 밀어붙일 경우 외교 갈등으로 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미국 정부가 더 엄격한 무역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것은 중국의 반도체산업 발전을 막기 위해 연합전선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실패했음을 시사한다”고 짚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92430
관련주 : 피델릭스⚡️, 러셀, 서플러스글로벌, 제주반도체, 넥스틴, 오로스테크놀로지, 에스앤에스텍, 레이크머티리얼즈, 파크시스템스, 에스티아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한미반도체, 칩스앤미디어
'投資 > 證券.不動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種目]7/18(목) 뉴스관련주 정리 (0) | 2024.07.18 |
---|---|
[種目]아나패스(123860.KQ) (0) | 2024.07.18 |
[種目]SK E&S (0) | 2024.07.18 |
[種目]아바코(083930.KQ) (0) | 2024.07.18 |
[種目]아디다스 (0) | 2024.07.18 |